본문 바로가기
인구/구별 인구

동구 인구수(Ulsan) - 2023년

by allinfo's today 2023. 9. 19.
반응형

울산시 동구 개요

울산광역시 동구의 지형은 동부와 남부가 바다와 접해 있으며, 북부와 서부는 산지로 둘러싸여있다. 동경 129°21′∼129°31′, 북위 35°28′∼35°34′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36.03㎢, 인구는 17만 4963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9개 행정동(8개 법정동)이 있고, 구청은 울산광역시 동구 화정동에 위치해 있다.

 

 

 

울산광역시 동구청

25℃ 흐림 미세먼지 보통 / 초 미세먼지 보통 방사선수치 0.111 µSv/h

www.donggu.ulsan.kr

 

 

 


 

울산시 동구 역사

해방 이후 동구 지역은 1962년 울산군이 울산시로 승격되기 전까지 방어진읍으로 불렸다. 1962년 6월 1일 현재의 동구 지역에 울산시 방어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6년 방어진출장소 관할이던 염포동이 병영출장소 관할로 이전되었고, 1979년 방어진출장소 관할의 남목동은 남목1동과 남목2동으로, 1983년 전하동은 전하1동과 전하2동으로 분동 되었다.

방어진출장소는 1988년 동구청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 동구 화정동 일부가 전하2동으로 편입되었으며, 1992년 화정동은 화정동과 대송동으로 분동 되었다. 1995년 전하2동은 전하2동과 전하3동으로, 남목1동은 남목1동과 남목3동으로 각각 분동 되어 동구는 총 11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후 1997년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되었고, 동구는 자치구가 되었다. 동구는 중구 염포동을 편입하여 12개 동이 되었다가, 1998년 염포동 일부가 북구 염포동으로 다시 조정되었다. 1998년 10월 1일에는 지방조직 개편에 따라 주전동이 남목3동에 통합되었고, 이후 동구는 현재와 같이 10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울산시 동구 인구(인구수)

동구의 총 인구는 152,315명이고 세대수는 67,445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동구 152,315 67,445

 

울산시 동구 동면읍 인구(인구수)

동구에서 방어동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38,490명, 세대수는 17,980입니다. 두번째로는 남목2동 인구가 많고 인구 24,832명, 세대수는 10,283입니다. 세번째는 전하2동으로 인구는 19,444, 세대수는 7,638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방어동 38,490 17,980
남목2동 24,832 10,283
전하2동 19,444 7,638
화정동 18,559 8,191
전하1동 14,939 6,838
남목3동 11,423 4,833
대송동 10,977 5,064
남목1동 8,295 3,625
일산동 5,356 2,993

 

 

울산시 인구수 - 2023년

울산시 개요 동쪽은 동해, 서쪽은 경상남도 밀양시와 경상북도 청도군, 남쪽은 부산광역시 기장군과 경상남도 양산시, 북쪽은 경상북도 경주시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8°58'~129°27', 북위 3

blog.allinfo.today

 

 

 

 

울산시 동구 인구(인구수) 그래프

 

울산시 동구 인구(인구수) 추이

동구 인구는 1990년 16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1995년 인구가 처음으로 19만명 이상이 되었고 이후에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했습니다. 2023년 현재 15만명이 동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울산시 동구 산업 및 교통

동구 지역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울산공업 지역에서도 제조업체들의 집적도가 높은 울산·미포 국가산업단지의 일부를 차지하는 한편 우리나라 조선공업의 메카라고 할 수 있다.

원래 고래고기 가공 공장과 선박수리를 위한 철공조선소가 주를 이루었지만, 1972년 3월 현대중공업 미포조선소가 입지하면서 우리나라 최대의 조선공업단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조선공업은 전형적인 노동집약적 공업으로, 대규모 조선소의 입지는 급격한 인구증가를 유발한다.

동구 전하동에 위치한 현대중공업은 전 세계 선박 건조량의 15%를 생산하고, 매출액이 7조 원을 넘는 세계 제1의 조선소이다. 중형 석유화학제품 운반선 건조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총 20만 2000여 평의 부지에 40만 톤 급 도크 3기와 35만 톤 급 도크 1기를 비롯, 2.6㎞의 안벽, 22기의 지브크레인 그리고 각종 첨단 자동화 설비를 갖춘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2008년 현재 동구 지역의 산업구조를 살펴보면, 농림어업의 사업체는 2개로, 그 종사자는 4명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제조업체는 432개이고, 그 종사자는 4만 1179명으로 동구 전 사업체 종사자의 55.8%를 차지하고 있어, 전형적인 공업지역의 모습을 보인다.

도·소매업은 총 2169개 업체가 있어 사업체 수에 있어서는 그 비율이 25.9%로 가장 높지만, 종사자수는 4670명으로 6.4%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숙박 및 음식점 업은 전체 업체의 28.8%인 2411개에, 종사자수는 5994명으로, 종사자수는 전체에 8.3%이다. 그 외에 운수·창고업, 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 및 임대업, 사업서비스업 등은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동구 지역의 농업은 주로 해안평야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중이 매우 작고, 어업과 겸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수산업은 방어진항을 중심으로 방어·대구·갈치 등의 연근해 어업이 이루어진다. 생선 이름인 ‘방어’에서 유래되었다는 방어진은 일제강점기 초기 동해안의 어업 전진기지가 되면서 급격히 발전하였다. 북부의 주전동 연안에서는 미역 양식업이 활발하다.

동구의 상업은 현대백화점·전하시장·진성종합상가 등이 위치한 전하동과 수협공판장이 위치한 방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동구는 6개의 재래시장과 1개의 백화점이 있다.

교통은 해안선을 따라 지나는 지방도가 32번 국도와 이어져 북쪽의 포항으로 연결되며, 서쪽으로는 울산만 연안의 공업단지와 연결되는 순환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미포항은 100만 톤 급의 대단위 조선소 시설의 건설을 위해 축조된 것으로, 원자재와 제품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방어진항은 조선시대 진해의 제포, 동래의 부산포와 함께 개항장으로 지정되었던 염포로서, 한때는 대일(對日) 무역의 중심항이었고, 현재는 연근해 어선어업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

 

 

 


 

울산시 동구 관광

자연경관이 수려한 동구는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울산 지역의 대표적인 위락 휴양 지역으로, 대표적인 관광지로는 봉대산공원, 대왕암공원, 일산해수욕장, 주전바닷가 등이 있다.

동구 남목동에 위치한 봉대산공원은 입구에서부터 분수대, 전국팔도장승이 한자리에 모인 장승단지, 디딜방아, 물레방아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공원 입구를 들어서며 시작되는 9㎞의 맨발 등산로는 마사토, 모래, 자갈, 황토 등이 깔려 있어 맨발로도 쉽게 오를 수 있다. 맨발 등산로를 따라 약 30분 정도 오르면 청정해역인 동해와 현대중공업, 그리고 공원의 전경이 한눈에 보이는 전망대가 있어 동해의 일출 광경을 볼 수 있다.

일산동에 위치하고 있는 대왕암공원(울기공원)은 동구 지역에서 주민과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다. 이곳에 있는 울기등대는 1905년 2월 목재로 만들어져 방어진항을 유도하는 항로 표시로 사용되다가, 1906년부터 콘크리트 구조물로 새로 설치되어 1987년까지 80여 년간 등대로 사용되었다. 울기등대는 울산지방해양수산청의 보존 하에 현재까지 원형이 잘 유지되어 있어, 구한말의 등대 건축양식과 현재를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대왕암공원 입구에 위치한 일산해수욕장은 반달형의 백사장 1㎞가 펼쳐진 청정해역으로, 수질이 깨끗하고, 인근 대왕암공원의 송림과 어우러져 피서지로 인기가 높다. 이외에도 검정 자갈이 해안을 따라 1.5㎞ 이어져 있어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주전바닷가, 뛰어난 전망을 자랑하는 동축사 관일대, 봉수대 조망 등 다양한 관광자원들이 있다.

한편 동구 지역의 대표적인 체육시설로는 서부시민구장이 있다. 현대중공업에서 1996년, 축구를 통한 지역체육 발전 도모를 위해 개장한 것으로, 총 8만 1942㎡(2만 4787평) 면적에 축구장, 농구장, 배구장, 테니스장 및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축구장은 사계절 푸른 천연잔디 구장으로 국가대표 선수들은 물론 청소년 대표팀을 비롯한 각 축구단의 전지훈련장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2001년 개장한 프로축구팀 울산 현대의 전용구장인 미포구장은 축구장을 비롯한 테니스장, 농구장, 조깅트랙 등 부대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2002 한일 월드컵 때 브라질 대표팀의 훈련캠프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동구 지역에는 2005년 준공된 동구 국민체육센터, 씨름연습장, 현대중공업에서 건설한 현대중공업 실내체육관, 현대미포 실내체육관, 한마음회관 실내체육관 등을 비롯한 공공체육시설이 위치해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

'인구 > 구별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주군 인구수(Ulsan) - 2023년  (0) 2023.09.19
북구 인구수(Ulsan) - 2023년  (1) 2023.09.19
남구 인구수(Ulsan) - 2023년  (0) 2023.09.19
중구 인구수(Ulsan) - 2023년  (0) 2023.09.19
대덕구 인구수(Daejeon) - 2023년  (0) 2023.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