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국가별 인구

중국 인구수(신생아, 출산율, 성비, 지역별)

by allinfo's today 2023. 10. 27.
반응형

중국 인구수 신생아/성비

 

 

 

 

1. 중국 인구 개요

중국의 총인구는 2023년 기준 1,425,671,352명입니다. 세계에서 1,428,627,663명인 인도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국가입니다. 세계에서 인도와 중국만 10억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했고 3위인 미국의 인구는 339,996,576명으로 중국의 인구가 10억 명 이상 많습니다. 중국은 세계 인구에서 17.7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인구 대국입니다.

 

2023년에 인도에 인구수가 역전됐지만 이전까지 중국은 송나라 이후로 지구상에서 항상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였습니다. 90년대에는 다산을 선호하는 관념이 많았고 중국 당국도 국력증진을 위해서 출산장려 정책을 펼쳐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공산당의 경우 가족수에 따라서 배급이 되기 때문에 1970년대에는 합계출산률이 5명일 정도로 출산율이 높았습니다. 오히려 너무 많은 인력이 문제가 되어 1980년 자녀수를 제한하는 한 자녀 정책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출산율은 전세계에서도 유래 없는 속도로 떨어지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1980년대에 도입한 한 자녀 정책이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국도 한국과 비슷하게 2000년대에 고령화사회로 진입했으며 생산연령(15~64세)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어서 현재는 국가에서 다양한 정책을 통해 출산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2. 중국 도시별 인구수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 22,265,426명인 상하이(상해)입니다. 한국의 서울과 경기도 지역을 합친 인구가 상하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는 베이징(북경)으로 19,295,000명이 거주하고 있고,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은 톈진(천진)으로 11,090,314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습니다.

 

순위 중국식 한국식 인구
1 상하이 상해 22,265,426
2 베이징 북경 19,295,000
3 톈진 천진 11,090,314
4 광저우 광주 11,070,654
5 선전 심천 10,357,938
6 우한 무한 9,780,644
7 둥관 동완 8,220,937
8 청두 성도 7,677,122
9 충칭시 중경 7,457,589
10 샹강(홍콩) 향항 7,374,900
11 난징 남경 7,165,828
12 포산 불산 6,771,900
13 시안 서안 6,501,189
14 선양 심양 6,255,921
15 항저우 항주 6,242,000
16 쑤저우 소주 5,349,090
17 칭다오 청도 4,814,000
18 지난 제남 4,786,800
19 하얼빈(하르빈) 합이빈 4,517,549
20 정저우 정주 4,253,627
21 다롄 대련 4,087,733
22 쿤밍 곤명 3,583,429
23 우시 무석 3,542,319
24 샤먼 하문 3,531,347
25 창춘 장춘 3,530,115
26 닝보 영파 3,491,597
27 난닝 남녕 3,437,171
28 타이위안 태원 3,426,522
29 허페이 합비 3,352,076
30 창저우 상주 3,290,548
31 탕산 당산 3,187,171
32 창사 장사 3,093,980
33 쉬저우 서주 3,053,778
34 원저우 온주 3,039,500
35 구이양 귀양 3,037,159
36 우루무치(위륌치) 오로목제 3,029,372
37 쯔보 치박 2,980,800
38 푸저우 복주 2,921,763
39 스자좡 석가장 2,861,784
40 화이안 회안 2,633,420
41 린이 임기 2,600,200
42 란저우 란주 2,492,325
43 양저우 양주 2,399,079
44 난창 남창 2,357,838
45 후이저우 혜주 2,344,507
46 난퉁 남통 2,273,326
47 샹양 양양 2,199,689
48 자오좡 조장 2,125,136
49 바오터우 포두 2,070,801
50 하이커우 해구 2,046,189
51 이우 의오 2,038,400

 

 

순위 중국식 한국식 인구
52 후허하오터(호흐호트) 호화호특 1,980,774
53 지린 길림 1,975,803
54 푸톈 보전 1,953,801
55 뤄양 낙양 1,925,948
56 타이저우 태주 1,902,500
57 옌타이 연태 1,870,600
58 난충 남충 1,858,875
59 장먼 강문 1,822,640
60 난양 남양 1,811,732
61 루안 육안 1,778,583
62 푸양 부양 1,768,947
63 다퉁 대동 1,737,517
64 타이안 태안 1,735,500
65 화이난 회남 1,666,826
66 다칭 대경 1,649,825
67 쑤저우 숙주 1,647,642
68 옌청 염성 1,615,717
69 잔장 담강 1,612,300
70 텅저우 등주 1,603,700
71 장인 강음 1,594,829
72 주하이 주해 1,560,229
73 안산 안산 1,544,084
74 웨이팡 유방 1,521,600
75 창수 상숙 1,510,103
76 구이강 귀항 1,493,874
77 치치하얼(치치하르) 제제합이 1,481,637
78 덩저우 등주 1,468,061
79 츠시 등주 1,462,383
80 창더 상덕 1,458,536
81 피저우 비주 1,458,036
82 바오지 보계 1,437,802
83 쑤첸 숙천 1,437,686
84 류저우 류주 1,436,599
85 타이저우 태주 1,417,567
86 이창 의창 1,411,380
87 보저우 박주 1,409,436
88 촨저우 천주 1,398,427
89 원링 온령 1,366,800
90 쯔궁 자공 1,362,062
91 푸순 무순 1,356,987
92 몐양 면양 1,355,331
93 산터우 산두 1,346,708
94 허쩌 하택 1,346,700
95 치펑 적봉 1,333,526
96 우후 무호 1,307,042
97 라이우 내천 1,298,500
98 하이청 해성 1,293,877
99 인촨 은천 1,290,170
100 루가오 여고 1,267,066

 

 

순위 중국식 한국식 인구
101 네이장 내강 1,251,095
102 장자강 장가항 1,248,414
103 이싱 의흥 1,235,476
104 푸칭 복청 1,234,838
105 위에양 악양 1,232,133
106 신양 신양 1,229,959
107 랴오청 요성 1,229,800
108 마오밍 무명 1,217,715
109 자싱 가흥 1,201,900
110 전장 진강 1,200,400
111 시닝 서녕 1,198,304
112 톈수이 천수 1,197,174
113 화저우 화주 1,178,873
114 딩저우 정주 1,165,182
115 주지 제기 1,157,900
116 바오딩 보정 1,157,891
117 징저우 형주 1,154,086
118 안양 안양 1,146,761
119 르자오 일조 1,143,078
120 서우광 수광 1,139,400
121 헝양 형양 1,135,166
122 위저우 우주 1,131,819
123 바중 파중 1,126,790
124 저우청 추성 1,116,700
125 지닝 제녕 1,115,300
126 화이베이 회북 1,113,321
127 준이 준의 1,095,189
128 번시 본계 1,094,294
129 진저우 금주 1,091,799
130 진화 금화 1,077,300
131 타이싱 태흥 1,073,921
132 장추 장구 1,064,200
133 주저우 주주 1,055,373
134 롄윈강 연운항 1,049,831
135 어저우 악주 1,048,672
136 신샹 신향 1,047,020
137 핑딩산 평정산 1,033,975
138 잉커우 영구 1,032,048
139 친황다오 진황도 1,029,670
140 린하이 임해 1,028,800
141 우웨이 무위 1,010,295
142 허저우 하주 1,005,500
143 자오양 조양 1,004,741
144 샹청 향성 1,003,626

 

 

 

 


 

3. 중국 지역별 인구수

중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은 126,012,510명인 광둥성입니다. 광둥성에는 한국 전체 인구의 2배 이상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은 산둥성으로 101,527,453명이 거주하고 있고,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은 허난성으로 99,365,519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습니다.

 

순위 지역 인구수 인구비중
1 광둥성 126,012,510 8.93%
2 산둥성 101,527,453 7.19%
3 허난성 99,365,519 7.04%
4 장쑤성 84,748,016 5.87%
5 쓰촨성 83,674,866 5.93%
6 허베이성 74,610,235 5.28%
7 후난성 66,444,864 4.71%
8 저장성 64,567,588 4.57%
9 안후이성 61,027,171 4.32%
10 후베이성 57,752,557 4.09%
11 광시성 50,126,804 3.52%
12 윈난성 47,209,277 3.34%
13 장시성 45,188,635 3.20%
14 랴오닝성 42,591,407 3.02%
15 푸젠성 41,540,086 2.94%
16 산시성(섬서성) 39,528,999 2.80%
17 구이저우성 38,562,148 2.73%
18 산시성(산서성) 34,915,616 2.47%
19 충칭시 32,054,159 2.27%
20 헤이룽장성 31,850,088 2.26%
21 신장 위구르 자치구 25,852,345 1.83%
22 간쑤성 25,019,831 1.77%
23 상하이시 24,870,895 1.76%
24 지린성 24,073,453 1.71%
25 내몽골 자치구 24,049,155 1.70%
26 베이징시 21,893,095 1.55%
27 톈진시 13,866,009 0.98%
28 하이난성 10,081,232 0.71%
29 닝샤 후이족 자치구 7,202,654 0.51%
30 칭하이성 5,923,957 0.42%
31 티베트 자치구 3,648,100 0.26%

 

 

 

 


 

4. 중국 출생아수

1950년 중국의 출생아수는 20,232,000명이었습니다. 그리고 1963년 역대 최대인 29,593,000만을 찍고 2000년까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2000년 초반까지는 조금씩 하락하다가 2018년부터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에는 1950년 이후 처음으로 1천만 명 이하인 9,560,000명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 중국의 출산율은 1.08명으로 한국과 함께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

 

연도 출생아 수
1950 20,232,000
1951 21,073,000
1952 21,050,000
1953 21,511,000
1954 22,604,000
1955 19,842,000
1956 19,825,000
1957 21,691,000
1958 19,088,000
1959 16,504,000
1960 13,915,000
1961 11,899,000
1962 24,640,000
1963 29,593,000
1964 27,334,000
1965 27,091,000
1966 25,776,000
1967 25,625,000
1968 27,565,000
1969 27,152,000
1970 27,356,000
1971 25,780,000
1972 25,663,000
1973 24,633,000
1974 22,347,000
1975 21,086,000
1976 18,530,000
1977 17,860,000
1978 17,450,000
1979 17,268,000
1980 17,868,000
1981 20,782,000
1982 21,260,000
1983 18,996,000
1984 18,022,000
1985 21,994,000
1986 23,928,000
1987 25,291,000
1988 24,643,000
1989 24,140,000
1990 23,910,000
1991 22,650,000
1992 21,250,000
1993 21,320,000
1994 21,100,000
1995 20,630,000
1996 20,670,000
1997 20,380,000
1998 19,420,000
1999 18,340,000

 

 

연도 출생아 수
2000 17,710,000
2001 17,020,000
2002 16,470,000
2003 15,990,000
2004 15,930,000
2005 16,170,000
2006 15,840,000
2007 15,940,000
2008 16,080,000
2009 16,150,000
2010 15,920,000
2011 16,040,000
2012 16,350,000
2013 16,400,000
2014 16,870,000
2015 16,550,000
2016 17,860,000
2017 17,230,000
2018 15,230,000
2019 14,650,000
2020 12,050,000
2021 10,620,000
2022 9,560,000

 

 

 

 


 

5. 중국 연도별 성비

중국은 전통적으로 남아를 선호하기 때문에 남성의 비중이 높습니다. 2010년 이후로 남성비가 낮아지고 있긴 하지만 다른 국가에 비하면 아직도 높은편입니다. 특히 2022년 기준 15세 미만의 인구의 성비는 남자 110대 여자 100으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며 이로 인해 결혼하기 어려운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체 연령으로 보면 2022년 기준 남성의 비율은 51.24%이고 여성의 비율은 48.76%입니다.

 

연도 전국 성비
1953 107.56
1964 105.46
1982 106.3
1990 106.6
2000 106.74
2010 105.2
2020 105.07
2021 104.9

 

 

 

전세계 인구수(국가별, 세계 인구 순위) - 2023년

전세계 인구(2023) 전세계 인구 7,918,636,844 현재 세계 인구는 약 80억 명입니다. 인구는 계속 증가해서 2015년 2월에 73억, 2017년 5월 세계인구가 75억을 넘고 2019년 8월에는 77억을 넘었고 2021년 10월에

blog.allinfo.today

 

 

일본 인구수 - 2023년

일본 개요 일본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가이다.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큰 섬(혼슈, 규슈, 시코쿠, 홋카이도)과 이들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의 전체 면적은 37

blog.allinfo.toda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