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구별 인구

동구 인구수(Daejeon) - 2024년

by allinfo's today 2024. 5. 6.
반응형

대전 동구 인구수 2024년

 

 

 

 

대전시 동구 개요

북쪽으로 대덕구, 동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과 옥천군, 남쪽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서쪽으로 중구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7°24'∼127°33', 북위 36°11'∼36°25'이며, 면적은 136.67㎢, 인구는 23만 9579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6개 행정동(45개 법정동)이 있다. 구청은 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에 위치해 있다.

 

 

대전광역시 동구청

대전광역시 동구청

 

www.donggu.go.kr

 

 

 


 

대전시 동구 역사

대전면은 1931년 4월 1일 대전읍으로 승격되었고, 그 해 6월 대전읍사무소가 현재의 원동으로 이전되었다. 대전부는 1940년 11월 1일 구역확장이 이루어져, 대덕군 외남면의 용운동, 자양동, 가양동, 성남동, 홍도동 지역이 추가 편입되어 32개 동이 되었다.

1940년대와 1950년대를 거치면서 대전은 대전천변 및 대전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교통의 요충지라는 이점을 살려 상업도시, 교통도시로 발전하였고, 동구 지역은 대전의 중요 지역으로 부각되었다.

1971년 7월 1일 동부출장소를 비롯한 4개 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77년 9월 1일 대전천을 경계로 동쪽에 동구를, 서쪽에 중구가 설치되었다. 또한 1983년 2월 대덕군 회덕면 전역이 동구에 편입되었고, 1989년 1월 1일 대전이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종전의 대덕군 동면 일원과 산내면 낭월·대별·이사·대성·장척·소호·구도·삼괴·상소·하소리(里)가 동구에 편입되었다. 또한 동구의 오정·대화·읍내·신대·와·송촌·법·중리·비래동이 대덕구에 편입되면서 행정동 24개 동, 법정동 45개 동이 되어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1990년 8월 1일 홍도동 일부가 대덕구 오정동에 편입되었고, 1992년 9월 1일 판암동이 판암1·2동으로 분동되어 동구는 25개 행정동이 되었다. 1995년 1월 1일에는 대전직할시 동구가 대전광역시 동구로 명칭 변경되었다. 1998년 12월 14일 조직개편 때는 원·정·중동이 중앙동으로, 대신1·신안동이 대신동으로, 추·세천동이 대청동으로 통폐합되었고, 대2동이 대동으로 명칭을 변경되었다.

또한 1999년 5월 4일 가양동 일부가 성남동으로, 홍도동 일부가 용전동으로, 용전동 일부가 가양동으로 편입되었다. 1999년 8월 6일 용전동 일부가 대덕구 중리동으로 편입되었고, 1999년 12월 5일 가양동 일부가 성남동으로 편입되었다. 2004년 7월 16일에는 판암동 일부가 가오동으로, 가오동 일부가 대청동으로 편입되었다.

 

 

 


 

대전시 동구 인구(인구수)

동구의 총 인구는 216,533 명이고 세대수는 109,330 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동구 216,533 109,330

 

대전시 동구 동면읍 인구(인구수)

동구에서 효동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22,605 명, 세대수는 8,914 입니다. 두번째로는 용운동 인구가 많고 인구 21,352 명, 세대수는 10,437 입니다. 세번째는 용전동으로 인구는 20,208 명, 세대수는 11,904 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효동 22,605 8,914
용운동 21,352 10,437
용전동 20,208 11,904
산내동 19,504 8,293
가양2동 18,820 9,844
신인동 15,190 6,902
대동 13,963 6,094
삼성동 13,044 6,404
가양1동 12,845 6,898
판암1동 12,050 5,987
홍도동 11,220 6,236
자양동 10,885 7,123
성남동 10,885 5,253
판암2동 7,965 5,139
중앙동 3,768 2,705
대청동 2,229 1,197

 

 

 

 

대전시 동구 인구(인구수) 그래프

 

대전시 동구 인구(인구수) 추이

동구 인구는 1980년 33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 인구가 처음으로 25만명 이하가 되었고 이후에도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했습니다. 2024년 현재 21만명이 동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대전시 동구 산업 및 교통

동구는 대전역을 중심으로 교통이 편리하여 상업이 발달된 곳이다. 사업체 수는 1만 8608개로 전체 사업체 중 도매 및 소매업(28.5%)과 숙박 및 음식점업(17.2%)이 절반 가까이 되며, 운수업(12.7%), 기타 공공 및 개인 서비스업(11.5%)이 뒤를 잇고 있다.

농업특산물로는 포도가 유명하며, 재배면적은 268㏊로 640여 개의 농가가 산내, 판암동 지역을 중심으로 위치해 있다.

중동과 정동에는 한약전·인쇄촌거리가 있고, 원동의 한복점, 공구상가 등이 있으며, 값이 저렴해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중앙시장 등이 있다.

또한 대전역을 중심으로 청과물시장·농협공판장·농수산물센터·중앙시장·홍인시장·동대전상가·대전상가 등이 있고, 대전천 연변에는 홍명상가·신도상가·대전백화점 등이 들어서 있다.

한편 공업은 경부고속도로 대전 인터체인지에 인접하여 일찍부터 발달하였는데, 피혁·직물·제지 등의 공업이 소규모 공업단지의 양상을 띠고 산재해 있다.

최근 신시가지 조성으로 도심 기능이 점차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고 있지만, 대전·진주 간 고속도로는 물론 남부순환도로가 동구 지역을 관통하고 있고, 경부고속철도 개통으로 경부고속전철 역사가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는 등 여전히 대전 교통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

 

 

 


 

대전시 동구 관광

식장산은 대전 8경 가운데 하나로, 기슭에 유서 깊은 고산사, 구절사, 개심사 등의 사찰이 있으며, 대청댐 건설 이전 대전 지역의 중요한 상수원이었던 세천저수지가 있다.

세천유원지는 매년 4월이면 벚꽃이 만발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또한 식장산 산내 패러글라이딩 교육장도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로 큰 호수인 대청댐 역시 대전 8경의 하나로 금강 줄기와 호 안에 있는 여러 섬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금산군의 경계지점인 만인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만인산 자연휴양림은 산세가 매우 수려하고, 대전천의 발원지인 봉수레미골 등 아름다운 골짜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 휴양림은 자연 능선을 이용하여 숲 속의 교실, 삼림욕장, 가족휴양지구, 푸른학습원, 야영장, 체력단련장, 휴게소, 정자, 피크닉장, 등산로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도시 근교에 위치해 도시민들이 쉽게 찾아올 수 있어 친근하고 쾌적한 휴식처로 각광받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