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시군별 인구

부천시 인구수 - 2023년

by allinfo's today 2023. 6. 26.
반응형

부천시 개요

동쪽은 서울특별시 · 광명시, 서쪽은 인천광역시, 남쪽은 시흥시, 북쪽은 서울특별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44'∼126°49', 북위 37°27'∼37°3'에 위치한다. 면적은 53.44㎢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0개 행정복지센터, 10개 행정동이 있다. 시청은 경기도 부천시 중동에 있다.

 

 

부천시청

살기좋은 부천시 부천시청입니다.

www.bucheon.go.kr

 

 

 


 

부천시 역사

1957년부터 이곳 범박동 일대에 ‘대한예수교부흥협회’라고 하는 종교취락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총 43만 여 평의 황무지를 개간하고 주택 · 공장 · 공공시설 등을 건설하여 1만 여 명이 입주했는데, 이곳을 신앙촌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1963년에 소사읍의 7개 리와 오정면의 2개 리가 서울특별시로 편입되고 작약도가 인천시로 편입되었다. 1973년에 부천군이 폐지되고 소사읍 일원을 중심으로 부천시가 신설되면서 과거 부천군의 소래면을 시흥군으로, 오정면 · 계양면은 김포군으로, 영종면 · 북도면 · 용유면 · 덕적면 · 영흥면 · 대부면은 각각 옹진군으로 편입되었다.

그 뒤 1975년에 오정면과 소래읍의 일부지역이 다시 부천시에 편입되었다. 1979년에 원미동으로 시청사가 이전되고, 1988년 남구 · 중구가 설치되었다. 1993년에는 오정구가 설치되었으며, 중구는 원미구로, 남구는 소사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6년 7월 소사구, 오정구, 원미구가 폐지되고 동 기능이 강화된 10개의 행정복지센터가 신설되었다. 2019년 7월 1일 36개 행정동이 10개 행정동으로 개편되었다.​

 

 

 


 

부천시 인구

부천시의 총 인구는 787,821명이고 세대수는 345,786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부천시 787,821 345,786

 

부천시 동면읍 인구

부천시에서 신중동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128,458명, 세대수는 55,458입니다. 두번째로는 범안동 인구가 많고 인구 99,211명, 세대수는 39,734입니다. 세번째는 부천동으로 인구는 86,286, 세대수는 38,525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신중동 128,458 55,458
범안동 99,211 39,734
부천동 86,286 38,525
상동 82,604 30,797
오정동 79,676 35,729
성곡동 79,150 35,700
대산동 77,606 35,831
심곡동 60,224 32,422
소사본동 54,250 23,779
중동 40,356 17,811

 

 

경기도 인구 - 2023년 5월 기준

경기도 2023년 5월 인구 표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경기도 13,612,597 5,948,920 경기도 수원시 1,191,505 531,460 경기도 고양시 1,077,963 464,011 경기도 용인시 1,075,317 433,765 경기도 화성시 928,550 396,653 경

blog.allinfo.today

 

 

부천시 인구 그래프

 

부천시 인구 추이

부천시 인구는 1966년 13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1990년 처음으로 50만명을 돌파했고 2010년 가장 많은 인구인 87만이 거주하였습니다. 2023년 현재 78만명이 부천시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부천시 산업 및 교통

전 토지의 33.8%가 경지이고 대지는 24.5%, 임야 19.5%, 도로 9.9%, 공장 5.1%이다. 경지 중 논 982㏊, 밭 282㏊인데 인구의 증가와 공업단지의 증가로 경지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최근에는 논이 연평균 10%씩 감소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 이외에 감자 · 고추 · 배추 · 오이 등이 생산된다. 과실류로 포도 · 복숭아 등이 생산되고 있으나 생산량이 계속 줄고 있다.

주요 임산물로 밤 · 은행 · 대추 등이 생산되고 있다. 농업인구는 전 인구의 0.6%이고 제조업 인구는 전 인구의 10.5%이다. 주요 광산물로 석회석이 생산되며, 제조업은 조립금속업 · 비금속제조업 · 화학공업 · 섬유공업 · 종이 인쇄업 · 자동차 공업 · 전자 공업이 발달하였다.

상업 시설은 14개가 있는데 일반 시장은 10개 그중에서 심곡동에 자유시장이 입지하고 있으며 부천역 지하에 대규모 상가 이외에 백화점 · 연쇄점 · 쇼핑센터가 있다.

도로는 경인고속도로가 북부 지방을 동서로 지나고 국도 6호선이 경인고속도로와 평행하게 지나다가 내동에서 동북진하고 있다. 또 국도 46호선이 남부지방을 동서로 지나고 국도 33호선이 중심부를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지방도로 339호선, 국도 46호선이 부천역에서 분기하여 북진하고 있다.

철도는 경인선이 국도 46호선과 나란히 동서로 지나고 있다. 경인 철도는 1974년 전철화가 된 이후 승객의 증가로 복선화가 되었다. 부천시는 철도와 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으나, 경인 철도는 소사구와 원미구를 나누어 놓았고 경인고속도로는 원미구와 오정구를 나누어 놓고 있어 지역 발전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서울지하철 7호선은 2000년 8월 1일 서울 장암역∼부천 온수역 간 46.9㎞ 구간을 개통하였으며, 2012년 10월 온수역에서 부천을 거쳐 인천지하철 1호선의 환승역인 부평구청역을 잇는 10.2㎞ 구간을 연장하여 개통하였다. 부천시 관내에는 까치울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중동역, 부천시청역, 상동역이 있다.

 

 

 


 

부천시 관광

수도권 전철이 개통됨에 따라 부천시는 서울과 인천이 주거 기능일부를 분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업기능도 분담하고 있는 서울의 위성도시로 그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적하기만 했던 옛 소사는 1899년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한적한 시골 풍경은 사라져 갔고 타지역 사람들이 이곳으로 이주해오기 시작하였다.

1908년 일본 사람들에 의해서 복숭아 과수원이 만들어지면서 무릉도원의 복숭아 산지로 각광을 받기 시작했던 고장이다. 나지막한 산록면에는 4월이 되면 연분홍 복사꽃이 화사하게 만발하여 무릉도원을 연상케 하고 관광명소로 유명하였다.

특히, 소상동 · 심곡동 · 송내동지역이 그 대표적인 고장이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포도와 딸기 재배도 유명하여 서울사람들의 주말 나들이 겸 휴식처로 인기가 높았던 관광지였다.

1973년 소사읍의 일부가 서울시에 편입되고 나머지 지역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소사의 복사골은 점점 소멸되기 시작, 지금은 몇 군데 남아 있는 복숭아밭이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요즈음에는 아파트단지가 확장되어 타지 사람들의 드나듦이 심한 고장이 되었다. 그리고 조선 세조 때의 공신 변종인의 신도비가 있다.

최근 매년 봄이 되면 복사골종합예술제를 개최하고 미술전, 합창공연, 연극제, 체육대회 등 문화관광행사를 통하여 애향심을 기리고 있다. 최근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와 부천만화축제 등의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국제관광도시로 발돋음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

'인구 > 시군별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광명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안양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의정부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성남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