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시군별 인구

평택시 인구수 - 2023년

by allinfo's today 2023. 6. 26.
반응형

평택시 개요

동쪽은 안성시, 서쪽은 해안가에 면하고 남쪽은 아산시와 천안시, 북쪽은 오산시·용인시·화성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09'∼127°46′, 북위 36°54′∼37°08′에 위치한다. 면적은 454.47㎢이다. 행정구역으로는 4개 읍, 5개 면, 13개 행정동(23개 법정동), 411개 행정리(83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경기도 평택시 비전동에 있다.

 

 

평택시청

Copyright © PYEONGTAEK-CITY. All rights Reserved.

www.pyeongtaek.go.kr

 

 

 


 

평택시 역사

1926년 군청 소재지 병남면을 평택면으로 개칭하고, 송장면과 탄현면을 합해 송탄면을 신설하였다. 1938년 진위군이 현재의 평택군으로 개칭되었으며, 이듬해에 평택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62년 6월 15일 송탄면에 신장출장소(新場出張所)가 설치되었고, 이듬해 송탄면이 읍으로 승격된 뒤, 1981년 7월 1일 송탄읍이 시로 승격되어 평택군에서 분리되었다. 1967년 부용면과 서면을 합해 평택의 고호를 따서 팽성면으로 개칭했고, 1972년 9월 1일 팽성면에 안정출장소가 설치된데 이어 1979년 팽성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79년 5월 1일 평택읍에 중부·동부·서부·북부의 4개 출장소를 두었고, 1983년 2월 15일에는 안성군 원곡면의 4개 리, 공도면의 소사리를 평택읍에, 용인군 남사면의 일부가 각각 진위면에 편입되었다. 1986년 1월 1일 평택읍이 급속한 산업화로 인구의 팽창과 행정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로 승격되었다.

1987년 서탄면 적봉리가 송탄시에 편입되고, 화성군(현 화성시) 양감면 고념리가 청북면에 편입되었다. 1989년에는 4월 1일 안중출장소가 안중면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4월 20일 진위면의 3개 리가 오산시로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5월 10일 도농통합에 따라 송탄시·평택시·평택군이 통합, 새로운 평택시가 되었다.

1996년 4월 19일에 동부동을 송탄동으로 변경하였고, 1997년 4월 26일 진위면 갈곳리를 진위면 갈곶리로, 청용동을 청룡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이 해 6월 17일 현덕면 인광5리가 인광5·6리로 분리 조정되었고, 1998년 10월 1일에는 송탄동과 도원동을 합하여 송탄동으로 변경하였다. 2002년 11월 5일에 안중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2006년 12월 29일 포승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2016년 청북면이 청북읍으로 승격되었다.

 

 

 


 

평택시 인구

평택시의 총 인구는 584,986명이고 세대수는 275,913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경기도 평택시 584,986 275,913

 

평택시 동면읍 인구

평택시에서 비전2동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57,989명, 세대수는 23,194입니다. 두번째로는 비전1동 인구가 많고 인구 51,734명, 세대수는 21,876입니다. 세번째는 중앙동으로 인구는 43,809, 세대수는 21,542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비전2동 57,989 23,194
비전1동 51,734 21,876
중앙동 43,809 21,542
안중읍 43,345 19,409
동삭동 40,934 17,527
고덕동 35,328 16,281
세교동 34,548 14,756
팽성읍 28,901 16,139
청북읍 26,995 11,362
용이동 25,898 11,154
서정동 24,304 12,605
포승읍 24,097 14,084
송탄동 22,177 9,656
송북동 21,728 9,602
신평동 20,914 11,838
원평동 13,416 7,062
고덕면 12,934 6,295
지산동 12,760 7,654
진위면 11,337 6,142
신장1동 7,188 3,933
오성면 6,571 3,321
현덕면 5,286 2,832
신장2동 5,234 3,263
통복동 3,950 2,408
서탄면 3,609 1,978

 

 

경기도 인구 - 2023년 5월 기준

경기도 2023년 5월 인구 표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경기도 13,612,597 5,948,920 경기도 수원시 1,191,505 531,460 경기도 고양시 1,077,963 464,011 경기도 용인시 1,075,317 433,765 경기도 화성시 928,550 396,653 경

blog.allinfo.today

 

 

평택시 인구 그래프

 

평택시 인구 추이

평택시 인구는 1966년 18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 처음으로 50만명을 돌파했고 이후 감소없이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였습니다. 2023년 현재 58만명이 평택시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평택시 산업 및 교통

전 토지의 45.5%가 농경지로 경기 지방에서 농경지의 면적이 가장 많은 지역의 하나이다. 임야는 19.6%이며, 경지 중 논 1만 5,438ha, 밭 5,234ha이다. 주요 농작물은 쌀, 두류, 서류 이 외에 밭작물로 배추·무·고추·파 등이 생산된다.

 

최근 주곡의 경지 면적은 계속 감소하고 있으나 과실류·목축·원예 등의 생산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주요 임산물은 밤·대추·도토리·표고버섯 등이 생산되고 있다.

 

해안가에 연해있어 민어·송어·꽃게·망등어·낙지 등이 어획되고 있다. 농가 인구는 전체 인구의 9.1%인 3만 7,188명이며 제조업 인구는 14.2%이다. 광산물은 고령토 등이 생산되고 주요 제조업은 식료품공업, 조립금속업, 비금속공업, 종이인쇄공업이 발달하고 있다.

 

상업시설은 팽성 등지에 정기 시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쇠퇴했으며, 상설 시장이 평택·팽성 등에 발달하고 있다.

 

교통은 고속도로, 국도 등이 동서남북으로 지나고 있어 자동차 교통이 발달해 있다. 도로는 경부고속도로가 시의 동쪽에서 남북으로 지나고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가 시의 서쪽에서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2008년 11월 평택~음성간 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서해안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로 곧바로 연결된다. 국도 1호선이 시의 동북부를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2016년에는 수서와 평택을 잇는 수서평택고속선이 개통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그리고 국도 8호선이 동서로 지나고 국도 45호선이 서남·동북 방향으로 지나며 국도 39호선이 서쪽 안중읍을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철도는 경부선이 국도 1호선과 나란히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 천안까지 복복선 전철이 놓이면서 평택의 교통상황은 많이 나아졌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

'인구 > 시군별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산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동두천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광명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부천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안양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