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구별 인구

동구 인구수(Gwangju) - 2023년

by allinfo's today 2023. 9. 13.
반응형

광주시 동구 개요

광주광역시(광주시) 동구는 동쪽으로 화순군, 서쪽으로 서구(西區), 남쪽으로 전라남도 화순군과 남구(南區), 북쪽으로 북구(北區)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01'∼126°54', 북위 35°04'∼35°09'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49.20㎢, 인구는 9만 8784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3개 행정동(34개 법정동)이 있고, 구청은 광주광역시 동구 서남로1(서석동)에 위치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동구

이웃 간 정이 넘치는 마을공동체 활성화 실현을 위한 ‘동구 마을복지. zip’ 9월 프로그램을 아래와 같이 운영하오니, 주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기간 : 2023. 9. ~ 9. 27. ○ 장소

www.donggu.kr

 

 

 


 

광주시 동구 역사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광주부가 광주시로 개칭되었고, 1966년 1월 8일 계림1구가 계림1·3구로 분동 되었으며, 1970년 6월 29일 산수2동, 서석2동, 학3동, 학운동이 분동 되었다.

1973년 7월 1일 구제 실시에 따라 동구와 서구를 두게 되었고, 1979년 산수2동이 산수2·3동으로, 1979년 지산동이 지산1·2동으로 분동 되었다.

1980년에는 북구가 신설되면서 행정구역이 조정되어 동구 관할의 양림·방림1·2동이 서구에 편입되었다. 이후 1985년 서석1·2동이 통합되어 서석동이 만들어졌다.

1994년 동구 청사를 현재의 동구 서남로1(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1)로 이전하였고, 1998년 행정동 통폐합으로 대금·충수·대의·충금·삼성동이 충장동으로, 동명1·2동이 동명동으로, 계림1·2동이 계림1동으로, 계림3동이 계림2동으로, 산수1·2동이 산수1동으로, 산수3동이 산수2동으로, 남금·서석동이 서남동으로, 학1·2동이 학1동으로, 학3동이 학2동으로 변경되었다.

 

 

 


 

광주시 동구 인구(인구수)

동구의 총 인구는 106,704명이고 세대수는 55,009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동구 106,704 55,009

 

광주시 동구 동면읍 인구(인구수)

동구에서 지원2동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16,760명, 세대수는 7,693입니다. 두번째로는 계림2동 인구가 많고 인구 13,288명, 세대수는 5,623입니다. 세번째는 학운동으로 인구는 11,095, 세대수는 5,187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지원2동 16,760 7,693
계림2동 13,288 5,623
학운동 11,095 5,187
계림1동 10,497 5,780
산수2동 9,914 4,703
지원1동 9,089 4,274
산수1동 8,105 4,367
학동 7,360 3,527
충장동 5,387 4,259
지산2동 4,339 2,387
지산1동 4,145 2,459
동명동 3,713 2,448
서남동 3,012 2,302

 

 

 

광주시 인구수 - 2023년

광주시 개요 동쪽은 담양군, 서쪽은 함평군, 남쪽은 나주시, 화순군, 북쪽은 장성군과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38'∼127°00'34', 북위 35°03'∼35°15'이다. 면적은 501.18㎢이다. 행정구역으로는 5

blog.allinfo.today

 

 

 

 

광주시 동구 인구(인구수) 그래프

 

광주시 동구 인구(인구수) 추이

동구 인구는 1975년 35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1990년 인구가 처음으로 20만명 미만이 되었고 이후에도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했습니다. 2023년 현재 10만명이 동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광주시 동구 산업 및 교통

주요 사업체로는 2008년 현재 도·소매업 4764개, 숙박 및 음식점업 2925개, 제조업 1306개 등 충장로, 금남로를 중심으로 관내 총 1만 5493개의 사업체가 있으며, 금융 및 보험업 422개, 교육서비스업 696개 등 사업, 유흥, 업무, 교육 시설 등이 집중되어 있어 광주 산업의 심장부 역할을 해왔다.

지역 특산물로는 춘설차와 진다리 붓이 있다. 둥글고 덕스러워 예로부터 차등이 없는 산이라고 불린 무등산에 있는 신묘한 구름과 같다 하여 이름 붙여진 춘설차는, 매년 5월 참새의 혀와 같이 생긴 새순을 따서 까다로운 선별 절차를 거쳐 생산되며, 붓 중에서도 서예가들에게 특히 인정받고 있는 진다리 붓은 그 전통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이어져오고 있다.

교통은 15번 국도를 통해 화순군과 담양군을 연결하고 있고, 제2순환도로가 개통되어 남구 방향으로 나주시와 연결되며, 북구 방향으로는 호남고속국도와 연결되고 있다. 또한 광주지하철 1호선이 동구와 서구를 연결하는 축으로 기능하고 있고, 광주 도심 방향으로 편리한 교통을 제공하고 있다.

 

 

 


 

광주시 동구 관광

동구의 관광자원은 무등산을 중심으로 한 자연자원과 사찰, 도심의 인공자원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동구와 북구, 전라남도 담양군과 화순에 걸쳐 있다. 동구의 무등산에는 증심사(證心寺), 약사암(藥師庵), 춘설헌(春雪軒) 등이 있다.

증심사는 광주 지역의 대표적인 불교 도량으로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데, 고승 철감선사(澈鑒禪師)가 517년에 세운 사찰이다.

약사암은 증심사 입구에서 새인봉 쪽을 향해 오르는 길에 자리 잡고 있다. 원래 인왕사(仁王寺)라 불렀다 하며, 철감선사가 증심사를 세우기에 앞서 세웠다고 전해진다.

운림동에 소재한 춘설헌은 남종화(南宗畵)의 거두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이 해방 직후 타계할 때까지 작품 활동과 후진 양성에 힘썼던 곳으로, 그가 재배한 춘설차는 이 지역 특산물로 남아있다.

지산유원지는 광주 시내에서 2㎞ 정도 떨어진 무등산 아래의 총 34만 5000여 평 규모로 이루어진 커다란 놀이터이다. 향로봉에는 전망대인 팔각정이 있어 시내 전체를 내려다볼 수 있으며 전망대와 유원지 사이로 리프트카와 관광열차가 운행된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