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구별 인구

서구 인구수(Gwangju) - 2024년

by allinfo's today 2024. 5. 6.
반응형

광주 서구 인구수 2024년

 

 

 

 

광주시 서구 개요

광주광역시(광주시) 서구는 중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남구, 북쪽으로는 북구, 서쪽으로는 광산구, 남쪽으로는 남구에 접해 있다. 동경 126°54'∼126°48', 북위 35°05'∼35°10'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47.79㎢, 인구는 30만 5028명이다.(2015년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18개 행정동(18개 법정동)이 있다. 구청은 광주광역시 서구 농성동에 위치해 있다.

 

 

 

광주광역시 서구청

광주광역시 서구청

www.seogu.gwangju.kr

 

 

 


 

광주시 서구 역사

해방 후인 1949년 광주부가 광주시로 개칭되었고, 1955년 광산군의 서방면, 효지면, 극락면, 석곡면 일부가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955년 광주시에 4개 출장소가 개설되었는데, 서구 지역은 유림출장소 관할 하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1973년 구제 실시에 따라 중부·동부·북부출장소가 통합되어 동구가 되었고, 남부·서부·지산출장소가 통합되어 서구가 되었다. 서구는 46개 동을 관할하였다.

1979년 서구는 월산2동을 월산2·4동, 상무동을 쌍촌·화내동으로 나누었고, 1980년 북구가 신설되자 서구 관할의 지산출장소, 유·누문·북·임·동운·소태동을 통합하여 북구로 편입시키고, 동구 관할의 양림·방림1동을 서구로 편입하였다.

1983년 서구 관할의 화내동이 화정1동·2동으로, 농성동이 농성1·2동으로 분동 되었으며, 1985년 월산5동·주월2동·백운2동이 분동 되었다. 1990년에는 화정2동이 분동 되어, 화정3동이 신설되었고, 방림2동에서 봉선동을 분동 되었다.

1995년 남구가 분리되면서, 서구 관할의 14개동이 남구에 이관되었다. 이와 함께 광산구 서창동을 서구로 편입하였으며, 1999년 양1동과 2동을 양동으로 통합하였다. 2001년 서창동이 서창동과 금호풍암동으로 분동 되었고, 2002년 상무1동이 치평동으로 개칭되었다.2003년에는 금호풍암동이 금호동과 풍암동으로, 2005년 금호동이 금호1·2동으로 분동 되어, 서구는 현재와 같이 17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광주시 서구 인구(인구수)

서구의 총 인구는 282,274 명이고 세대수는 133,512 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서구 282,274 133,512

 

광주시 서구 동면읍 인구(인구수)

서구에서 풍암동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34,572 명, 세대수는 15,044 입니다. 두번째로는 치평동 인구가 많고 인구 29,243 명, 세대수는 13,819 입니다. 세번째는 금호2동으로 인구는 26,970 명, 세대수는 10,521 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풍암동 34,572 15,044
치평동 29,243 13,819
금호2동 26,970 10,521
상무1동 24,019 12,376
상무2동 22,488 13,026
화정2동 19,641 7,868
화정4동 19,496 8,235
금호1동 19,358 8,857
화정1동 15,559 8,692
동천동 15,355 6,352
농성1동 11,555 6,683
유덕동 10,345 4,831
화정3동 9,142 4,406
서창동 6,541 2,949
광천동 6,197 3,110
농성2동 4,454 2,828
양3동 4,250 2,117
양동 3,089 1,798

 

 

 

 

광주시 서구 인구(인구수) 그래프

 

광주시 서구 인구(인구수) 추이

서구 인구는 1975년 25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1990년 인구가 처음으로 40만명 이상이 되었고 이후에 서구의 일부지역이 남구로 분리되면서 인구가 감소했습니다. 2024년 현재 28만명이 서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광주시 서구 산업 및 교통

서구 광천동에는 과거 공단이 조성된바 있지만, 점차 시가지가 확대되면서 공단이 외곽으로 이전하고, 중심에는 주거지 및 상업지가 형성되었다.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은 아직 남아 광주의 생산도시화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지만, 서구의 제조업 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구 지역은 상무 신도심 개발과 신세계 백화점 등 다양한 쇼핑몰들이 등장하면서 서비스업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서구의 사업체 수는 총 2만 527개로, 농업 및 임업 3개, 광업 4개, 제조업 871개,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12개, 건설업 990개, 도매 및 소매업 6287개, 숙박 및 음식점업 3388개, 운수업 1838개, 통신업 146개, 금융 및 보험업 374개, 부동산 및 임대업 730개, 사업 서비스업 198개,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58개, 교육서비스업 1365개,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553개, 오락·문화 및 운동관련 산업 769개, 기타 공공·수리 및 개인서비스업 2391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구는 지리적으로 광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 수요가 상당히 많은 지역이다. 순환도로와 제2순환도로가 통과하고, 영광과 담양을 연결하는 국도 22호선이 통과하고 있다. 또한 빛고을로를 통하여 호남고속국도와 연결되고, 광로를 통해 광산구와 연결된다. 한편 서광주역이 위치해 있고, 광주지하철 1호선이 구의 중심부를 통과해 동구의 구도심과 광산구를 연결하고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한 지역이다.

 

 

 


 

광주시 서구 관광

서구는 뛰어난 자연환경을 갖추거나 많은 인문자원이 입지하고 있지 않아, 광주광역시의 다른 구에 비해 관광자원이 풍부하지 못하다. 하지만 서구에 위치하고 있는 금당산, 개금산, 백마산, 짚봉산, 백석산 등에는 각종 체육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많은 주민과 등산객들에게 이용되고 있으며, 도시공원이 잘 개발되어 있다. 상무시민공원, 5·18기념공원, 5·18자유공원, 상무조각공원, 중앙공원, 풍암생활체육공원, 운천저수지, 풍암저수지, 전평제 등은 구민들이 자주 찾는 공원이다.

양동시장은 호남 최대의 재래시장으로, 서민들의 정취가 살아있는 장소이다. 서구의 명소로는 만귀정, 병천사, 서창 향토문화마을, 봉산사, 운천사 등이 있고, 매년 7월 말 서창 향토문화마을에서는 서창 만드리풍년제가 열리고 있다.

서구의 특산물로는 농업이 주 수입원인 서창동에서 생산되는 청수산 멜론, 방울토마토, 파프리카, 오이, 애호박, 미나리, 치정미 등이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