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광역시 및 도별 인구

대한민국(한국, 남한) 인구수 - 2023년

by allinfo's today 2023. 6. 25.
반응형

대한민국 개요

대한민국(大韓民國)은 동아시아 한반도에 위치한 민주공화국이다. 약칭 '한국(韓國)' 또는 '대한(大韓)'.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체제로서 자유주의와 민주주의가 결합된 모습을 드러내며, 대통령 중심의 다당제 체제로서의 특징이 존재한다. 3.1 운동을 계기로 1919년 4월 11일 선포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여 1948년 8월 15일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남북 분단이 시작된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6.25 전쟁을 치렀으며 직후 세계 최빈국으로 전락하는 국난을 겪기도 했다. 휴전 이후 냉전체제의 최전방이라는 지정학적 특성을 지닌 대한민국은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유엔의 지원을 받았고 대한민국 제3공화국 이후 수출과 제조업 집중 육성을 통한 고도 성장을 이뤘다. 경제의 발전으로 민주의식이 태동된 1987년, 6월 항쟁을 통해 군사정권을 무너뜨려 민주화를 이룩했고 9차 개헌으로 대한민국 제6공화국이 출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대한민국은 OECD 출범 이후 원조를 받던 수혜국에서 원조를 주는 공여국으로 바뀐 국가 중 하나이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인 G20의 회원국이다. 한국 영화, 한국 드라마, K-POP, 온라인 게임, 웹툰 등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소프트 파워는 오늘날에 이르러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GDP 12위, 외환보유고 9위, 수출규모 5위, 수입규모 8위의 경제대국이자 선진국이며, 국방비는 세계 8위, GFP는 세계 6위에 달하는 지역강국이다.

 

 

메인 | 청와대, 국민 품으로

2022년 5월 10일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리겠습니다 .

www.opencheongwadae.kr

 

 

 


 

대한민국 역사

대한민국의 역사는 세계사적으로도 손꼽힐만큼 파란만장하다는 것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불법적으로 강점당한지 9년이 지난 1919년, 조선인들은 3.1 운동을 통해 독립을 선언한다. 그리고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정부를 세움으로써 대한민국의 역사는 시작된다.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6년 동안 일제에게서 국토와 국민들을 해방시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패망하고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자 광복을 맞았다. 그러나 해방됨과 동시에 미국-소련 양국의 분할 점령과 신탁 통치를 겪었고, 미소 군정기의 정국 속에서 벌어진 혼란한 시국 아래에서 냉전 초기의 극도의 좌우 이념 대립을 겪게 되었다. 김구, 김규식등의 중재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친미 우익 세력과 친소련 좌익 세력의 반목은 심화되었고, 소련 당국이 남북총선거를 위한 UN한국임시위원단의 북한 입장을 거부하면서, 결국 가능한 남한 지역에서만 선거를 실시하기로 해 선거를 통해 제헌국회를 구성하였다.

1948년 8월 15일, 미군정에게서 정권을 이양받으면서 한반도 이남 지역에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후 6.25 전쟁을 거쳐 나라 전체가 극빈함에 시달렸으며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의 권위주의 통치를 국민들의 퇴진운동으로 몰아냈지만, 민주당(1955년)을 중심으로 의원 내각제를 기반으로 세워진 제2공화국은 갈피를 잡지 못한 채, 정파간에 첨예한 대립으로 국정운영이 제대로 되지않았고, 국내에 혼란한 정세를 틈타 박정희는 5.16 군사정변으로 쿠데타를 일으켜서 기존의 내각을 무너뜨리고 국가재건최고회의를 수립한다. 그 후 의원 내각제에서 대통령 중심제로 바꾸는 개헌안을 마련해 1962년 국민투표를 실시하며 이후 제5대 대통령 선거로 제3공화국을 세움에 따라 박정희, 전두환으로 이어지는 군부독재 정치가 시작된다.

박정희 대통령은 경제 발전 5개년 계획, 새마을 운동 등으로 국가 경제를 발전시키고 산업화를 이루었으나, 유신 개헌, 독재 등으로 민주주의를 탄압했다. 10.26 사건으로 박정희 대통령이 시해 당한 뒤 전두환은 12.12 군사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다. 전두환은 폭압적으로 국민들의 민주화 요구를 탄압하였으나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들의 거센 요구는 계속되었고 결국 5.18 민주화운동, 6월 항쟁 등을 거쳐 6.29 선언에 따른 9차 개헌을 통해서 제도적인 민주화를 이룩하게 되었다. 그리고 김영삼 대통령이 취임 석달만에 불법 사조직 하나회를 완전히 해체시키면서 군부독재 정치는 완전히 끝이 나게 된다.

이 와중에도 경제 개발을 시작하고 대성공하여, 1988 서울 올림픽, GDP 1만 달러 돌파, OECD 가입 등으로 1980년대~1990년대 중반은 경제 부흥으로 대한민국의 자신감이 가장 부풀어올랐던 시기였다. 하지만 1997년 외환 위기라는 충격을 받은 뒤 한국 국민들은 언젠가 자신들이 지금 누리는 부가 다시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위협을 받게 되었다. 이후 2000년대 들어 2만 달러대까지 성장한 뒤 2018년 3만 달러를 돌파하였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한강의 기적을 성공적으로 이뤄내면서 민주화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뤄냈으며 21세기에 들어서 선진국으로 들어선 몇 안 되는 국가이다. 또한, 한국은 세계최초로 원조를 받던 수원국에서 원조를 주는 공여국으로 바뀐 국가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인구

대한민국의 총 인구는 51,400,521명이고 세대수는 23,838,308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전국 51,400,521 23,838,308

 

대한민국 시도별 인구

대한민국에서 경기도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13,612,597명, 세대수는 5,948,920입니다. 두번째로는 서울특별시 인구가 많고 인구 9,418,885명, 세대수는 4,467,999입니다. 세번째는 부산광역시로 인구는 3,309,261, 세대수는 1,562,595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경기도 13,612,597 5,948,920
서울특별시 9,418,885 4,467,999
부산광역시 3,309,261 1,562,595
경상남도 3,265,018 1,522,410
인천광역시 2,978,089 1,335,225
경상북도 2,590,726 1,294,627
대구광역시 2,357,032 1,075,529
충청남도 2,125,833 1,027,858
전라남도 1,812,475 911,779
전라북도 1,763,004 860,284
충청북도 1,594,007 776,795
강원도 1,533,081 759,593
대전광역시 1,445,221 678,666
광주광역시 1,425,739 654,682
울산광역시 1,106,446 487,873
제주특별자치도 677,057 312,869
세종특별자치시 386,050 160,604

 

대한민국 시도별 인구 그래프

 

 

 


 

대한민국 인구 동향

대한민국 인구는 1990년에 4341만명에서 2010년 처음으로 5천만명을 돌파했습니다. 2023년 현재 5139만명으로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지만 인구 증가세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출산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서 앞으로도 인구 증가폭이 크게 줄거나 인구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