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시군별 인구

동두천시 인구수 - 2023년

by allinfo's today 2023. 6. 26.
반응형

동두천시 개요

동쪽은 포천시, 서쪽과 북쪽은 연천군, 서쪽과 남쪽은 양주시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7°00′∼127°09′, 북위 37°50′∼37°58′에 위치한다. 면적은 95.66㎢이다. 행정구역으로는 8개 행정동(12개 법정동)이 있다. 시청은 경기도 동두천시 생연동에 있다.

 

 

동두천시 대표 홈페이지

7월은 정기분 재산세 (주택1기분, 건축물분) 납부의 달 입니다.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과세기준일) 현재 토지, 주택, 건축물, 선박, 항공기를 소유한 자에게 과세하는 지방세에요. 과세 대상에 따

www.ddc.go.kr

 

 

 


 

동두천시 역사

1895년(고종 32)의 지방관제 개편 때 군으로 되었으며 1914년에도 고양주면(古楊州面)이 양주군으로 편입되었다. 1919년의 3·1운동 때 홍덕문(洪德文) 등이 1,000여 군중을 인솔하여 동두천시장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동두천은 조선 후기까지 양주군의 이담면(伊淡面)으로 지금의 시 관할구역과 거의 비슷한 안흥리·하봉암리·동막리·내동·연동·창동·걸산리·황매리·가정자리·행당리·지동·동두천리·상봉암리·축산리·광암리 등 18개 이로 되어 있었으며, 한때는 일담면(一淡面)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6·25전쟁으로 미보병 7사단이 주둔한 이래 급격히 인구가 증가하여 근대도시로 발전하면서 1963년 이담면이 양주군 동두천읍으로 승격되었고, 1973년 7월 1일 포천군 포천면 탑동리가 양주군 동두천읍에 편입되었으며, 1981년 7월 1일 동두천읍이 동두천시로 승격되었다. 1983년 양주군 은현면 상패리가 이 시에 편입되었다. 1998년 동 통폐합으로 10개 동에서 7개 동으로 되었다. 2007년 송내동이 신설되었다.

 

 

 


 

동두천시 인구

동두천시의 총 인구는 90,099명이고 세대수는 43,669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경기도 동두천시 90,099 43,669

 

동두천시 동면읍 인구

동두천시에서 불현동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25,951명, 세대수는 12,130입니다. 두번째로는 송내동 인구가 많고 인구 25,004명, 세대수는 11,258입니다. 세번째는 생연2동으로 인구는 11,343, 세대수는 5,138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불현동 25,951 12,130
송내동 25,004 11,258
생연2동 11,343 5,138
소요동 8,713 4,485
생연1동 6,582 3,289
상패동 5,064 2,819
중앙동 4,656 2,963
보산동 2,786 1,587

 

 

경기도 인구 - 2023년 5월 기준

경기도 2023년 5월 인구 표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경기도 13,612,597 5,948,920 경기도 수원시 1,191,505 531,460 경기도 고양시 1,077,963 464,011 경기도 용인시 1,075,317 433,765 경기도 화성시 928,550 396,653 경

blog.allinfo.today

 

 

동두천시 인구 그래프

 

동두천시 인구 추이

동두천시 인구는 1966년 5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 처음으로 7만명을 돌파했고 2016년 가장 많은 인구인 9만이 거주하였습니다. 2023년 현재 8만명이 동두천시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동두천시 산업 및 교통

전 토지의 66.9%가 임야이고 경지는 10%에 불과하다. 그리고 대지 3.3%, 하천용지 2.0%, 도로용지가 1.1%이다. 경지 중 논이 161㏊, 밭이 417㏊로 밭이 전 경지의 3/4에 달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이외에 채소류로 배추·무·시금치·오이·호박, 과실류로 복숭아·배 등이 생산된다. 농업 외에 젖소·돼지·닭 등의 축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임산물로는 밤·대추·잣·은행 등이 생산된다. 농가인구는 전체 인구의 2.2%인 1,928명인데 농가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제조업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4.8%인 4,087명이다. 주요 제조업은 식품·금속공업 등이 있으나 대부분 영세하다. 군사기지로 시작한 시는 상업 발달이 탁월하다. 특히 기지촌을 중심으로 식품 및 위락시설업이 발달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군의 철수로 기지촌보다는 일반 소비도시로 바뀌어 가고 있다. 상설 시장은 공설시장, 일반시장 2개 등 3개가 있는데 공설 시장은 도매와 소매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다른 두 시장은 소매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은행은 8개가 있어 주민의 금융혜택을 돕고 있다.

 

도로 발달이 빈약한 이 지역은 국도 3호선이 남북으로 지나고 동두천∼의정부간은 1970년대 4차선으로 확장된 뒤 평화로로 명명되어 의정부와의 교류를 촉진시키고 있다. 최근 제2평화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밖에 포천 및 문산으로 가는 시·군도가 있다.

 

철도는 경원선이 국도 3호선과 평행하게 지나고 있다. 주말과 휴일에는 소요산 등을 찾는 관광객들로 철도여객이 매우 많다. 2006년 말 의정부·동두천간 복선전철화 사업이 완공되어 서울로의 접근이 쉬워졌다.

 

 

 


 

동두천시 관광

경기도 최북단에 위치하여 역사 문화권 관광지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고 군사도시 기능으로 관광지 발달은 미약한 편이다. 특히, 동두천시는 미군부대의 주둔으로 기지촌 문화가 발달하였다.

 

동두천 종합개발계획에 따르면 경기의 작은 소금강이라 불리는 소요산과 광암동의 탑동계곡을 관광지로 개발하면 관광지로써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소요산은 예로부터 경기도의 소금강이라 불려질 만큼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관광명산이다.

 

비록 높지도 않고 웅장하지도 않지만 모식적인 암봉과 암석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마치 설악산의 일부를 보는 것과 같은 기암괴성과 폭포가 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곳은 여름 피서관광지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가을 단풍으로 유명한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곳이다. 특히, 서울에서 교통편이 좋은 관계로 관광객이 찾아들곤 하지만 계곡이 협소하여 과밀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

'인구 > 시군별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안산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평택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광명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
부천시 인구수 - 2023년  (0) 2023.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