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구별 인구

은평구 인구수(SEOUL) - 2023년

by allinfo's today 2023. 8. 5.
반응형

서울시 은평구 개요

서북쪽은 경기도 고양시, 동쪽은 종로구, 남쪽은 서대문구와 마포구에 접해 있다. 위치는 동경 126°52'~126°57', 북위 37°34'~37°39'이다.

 

 면적은 29.70㎢이고, 인구는 49만 7920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6개 행정동(11개 법정동)이 있으며, 구청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녹번동에 있다.

 

 

 

 


 

서울시 은평구 역사

광복 후 1946년 9월에 경성부가 서울시로 되었고 경기도 관할에서 분리,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다. 1949년 8월 고양군 은평면 11개 리, 연희면 7개 리가 서대문구에 편입되어, 은평출장소 행정 관할이 되었다. 1973년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관내 구파발리와 진관내·외리가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어 은평구의 행정 관할이 되었다. 

 

1979년 10월 1일 은평출장소가 폐지되고, 서대문구에서 분구되어 은평구가 신설되었으며, 이때 은평구는 녹번, 불광1, 불광2, 갈현, 구산, 대조, 응암1, 응암2, 응암3, 역촌, 신사, 증산, 수색, 진관내, 진관외동의 15개 행정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1988년 5월 1일 지방자치제를 실시함에 따라 희망에 찬 주민들이 살아가는 전원도시가 되었으며 1989년 9월 1일 이후 20개 행정동에서 13개 법정동을 관할하는 구가 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 불광 지구와 역촌 지구의 대단위 구획정리사업이 시작되어 1978년에 완료됨에 따라 은평구 일대의 농경지는 거의 택지로 변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 수도권 정비계획법에 따라 제조업체가 늘어났다. 그리고 서울외곽의 주거지역이 된 은평구는 지역 시장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상권이 형성되어 소규모 점포가 분산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최근에 연신내 일대에 서울 서부지역의 최대의 패션·의류타운이 형성되었다. 나아가 은평뉴타운 지역으로 개발되었으며, 수색역 일대의 백화점 유치 등으로 새로운 역세권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은평구 인구(인구수)

은평구의 총 인구는 463,702명이고 세대수는 214,175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은평구 463,702 214,175

 

서울시 은평구 동면읍 인구(인구수)

은평구에서 진관동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54,645명, 세대수는 21,413입니다. 두번째로는 역촌동 인구가 많고 인구 44,209명, 세대수는 20,754입니다. 세번째는 불광제1동으로 인구는 37,735, 세대수는 17,760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진관동 54,645 21,413
역촌동 44,209 20,754
불광제1동 37,735 17,760
녹번동 36,297 17,662
응암제1동 32,845 15,102
구산동 31,610 13,528
응암제2동 27,710 11,231
갈현제2동 27,642 12,578
대조동 27,287 15,237
불광제2동 26,961 14,101
신사제1동 26,628 12,059
응암제3동 23,614 12,557
신사제2동 19,160 8,760
증산동 18,468 8,014
갈현제1동 14,774 7,505
수색동 14,117 5,914

 

 

서울시 인구수 - 2023년

서울시 개요 한반도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며, 대한민국의 정치·경제·문화·교통의 중심지이다. 동쪽은 경기도 남양주시·구리시·하남시, 서쪽은 경기도 고양시·김포시·부천시, 남쪽은 경기도

blog.allinfo.today

 

 

 

 

서울시 은평구 인구(인구수) 그래프

 

서울시 은평구 인구(인구수) 추이

은평구 인구는 1980년 38만명 이었습니다. 그리고 1995년 인구가 처음으로 50만명 이상이 됐고 이후 인구가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았습니다. 2023년 현재 46만명이 은평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은평구 산업 및 교통

은평구는 도심지역과 다른 주택·학교·상가·시장 등이 분포되어 깨끗하고 조용한 주거지역으로서 도시주변의 성격을 띤다. 즉 1960년대 이전 근교농업지대의 성격을 띠었으며, 196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진행된 구획정리사업에 따라 대단위 주거공간으로 변하면서, 산업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즉 시장의 상권과 도심에서 옮겨온 제조업체가 늘어났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 수도권 정비계획법에 따라 제조업체가 늘어났으며, 지역 시장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상권이 형성되어 소규모 점포가 분산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최근에 연신내 일대에 서울 서부지역의 최대의 패션·의류타운이 형성되었다. 나아가 은평뉴타운 지역 개발과 수색역 일대의 백화점 유치 등으로 새로운 상권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찍이 서부버스터미널이 자리하여 서울과 경기도 서북부지역을 잇은 교통망의 중심지가 되었다. 즉 주택지역이 본격적으로 개발될 즈음인 19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도심과의 교통은 불광동의 박석고개를 거쳐 구의 중앙을 관통하는 통일로(統一路) 하나에 의존하다시피 했다. 이후 신사동과 세검정을 잇는 진흥로가 개통되어 구기터널을 통하여 도심의 종로 방향으로 직통하였고, 불광천을 따라 증산로가 개설되어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방향으로 강변북로로 이어져 인천공항과 강남 지역으로 곧바로 통하게 되었다. 또한 지하철 3호선이 연결되어 서울과 고양시 방향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지하철 6호선의 순환 종점이 되어 도심으로의 교통이 원활하게 되었다.

은평구의 중심도로는 통일로이다. 서울과 평양을 잇는 1번 국도로 고려시대 이래 개성에서 한양으로 통하는 간선도로였으며, 중국 사신의 사행로였다. 이 길을 따라 지하철 3호선이 지나 녹번역·불광역·연신내역·구파발역이 역세권을 형성하고 있다. 또 구를 동서로 지나는 진흥로는 구기터널로 종로구로 통하고 지하철 6호선과 연계되며, 역시 구의 관문역할을 하는 은평로와 만나게 된다. 그 외 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간선도로로 연서로·서오릉로·응암로·갈현동길 등이 있다.

지하철 3호선이 통일로를 따라 녹번역에서 구파발역 사이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지하철 6호선의 종점으로 응암-역촌-불광-독바위-연신내-구산-응암역으로 순환하여 운행되고 있다. 따라서 서울에서 서북쪽 방향으로 이어지는 육상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 은평구 관광

은평구의 관광자원은 삼각산 족두리봉(수리봉)·향로봉에서 향림담계곡으로 이어지는 경관과, 비봉에서 진관사계곡으로 이어지는 경관, 문수봉에서 의상봉 능선을 따라 축조되어 있는 북한산성과 삼천사계곡으로 이어지는 전망이 제일이다. 삼각산의 수려한 경관과 맑은 물이 흐르는 골짜기, 크고 작은 사찰과 폐사지 등은 우리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을 하나로 압축해놓은 명승을 자아내고 있다. 한편 은평구는 쾌적하고 살기 좋은 전원도시로 향토의 얼이 살아 숨쉬는 문화의 마을이며, 밝고 희망찬 미래를 열어가는 고장이다. 특히 연신내 로데오는 강북 최고의 패션상권이며, 주변에는 풍부한 먹거리와 낭만의 카페가 있는 젊음의 거리이다.

연신내 로데오거리는 서울 서북부 지역의 최대 상권으로 부상하고 있는 의류상설할인마당이다. 1997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이곳은 현재 약 50여 개의 의류매장이 자리하고 있으며, 먹자골목이 이어져 있다. 따라서 젊은이들의 공간으로 자리잡은 쇼핑거리를 더욱 풍성하게 하고 있다. 또 응암4동 대림시장 골목에는 우리나라 감자탕의 원조격인 감자국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1980년부터 시작된 감자탕골목의 역사는 한때 20여 개 업소가 넘기도 하였으며, 24시간 영업으로 서울 각지에서 손님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역촌동 오거리 부근은 술청거리로 불리었다. 옛날 술국이 유명했던 음식점이 있어 붙여진 이름인데, 아마 불광동에 우시장, 대조동에 도살장이 있어 좋은 재료를 구할 수 있었던 데서 유래된 듯하다. 지금은 우시장·도살장도 사라지고 명맥만 유지되고 있다.

지역문화축제행사로 통일로파발제, 매바위축제, 연천마을 호국기원제 등이 있다. 통일로파발제는 매년 10월 1일 구민의 날에 개최되는데, 취타대연주·파발문선포·파발마길놀이·퍼레이드(구파발인공폭포-통일로-구청광장), 파발제 재연 등이 행해진다. 매바위축제는 백련산 정상 은평정 일대에서 주민의 건강을 위한 매바위 제례와 더불어 매바위 풍물패에 의한 거리축제가 행해진다. 연천마을 호국기원제는 불광사 앞 공터에서 밥할머니 기원제와 젯밥나누기 등을 하며 축제를 벌인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