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시군별 인구

함양군 인구수 - 2024년

by allinfo's today 2024. 4. 28.
반응형

함양군 인구수 2024년

 

 

 

 

함양군 개요

동쪽은 거창군·산청군, 서쪽은 전라북도 남원시와 장수군, 남쪽은 하동군, 북쪽은 거창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15′∼127°52′, 북위 35°18′∼35°46′에 위치한다. 면적은 725.45㎢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0개 면, 259개 행정리(103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에 있다.

 

 

함양군청

 

www.hygn.go.kr

 

 

 


 

함양군 역사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으로 안의현이 군으로 되었다가, 1914년 지방행정구역 정리에 따라 안의군이 폐지되면서 현내(縣內), 황곡(黃谷), 초점(草岾), 대대(大垈), 지대(知代), 서상(西上), 서하(西下) 등 남부 7개 면은 함양군에, 북부 5개 면(동리, 남리, 고현, 북상, 북하)은 거창군에 각각 편입되어 함양군은 총 12개 면이 되었다. 그리고 1933년대지면이 안의면으로 합병되어 13개면에서 12개면으로 되었다.

 

1948년 여순반란사건과 1950년 를 겪으면서 이 지역은 많은 피해를 당한 바 있다. 1957년 함양면이 석복면(席卜面)을 편입, 읍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 7월 1일 안의면 춘전리·진목리가 거창군 남상면으로 편입되었으며, 1976년휴천면에 엄천(嚴川)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4년에는 군의 중앙부를 동서로 관통하는 88올림픽고속도로(현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이 지역 산업·교통·문화 등에 새로운 전기가 되었다. 1988년 함양읍 상동이 운림리로, 하동이 용평리로 개칭되었다. 1993년 교산리 학당(學堂)을 4개 동으로 분동하여 1읍 10개 면을 관할하였다. 1998년 엄천출장소를 폐지하였다

 

 

 


 

함양군 인구

함양군의 총 인구는 36,645 명이고 세대수는 20,616 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함양군 36,645 20,616

 

함양군 동면읍 인구

함양군에서 함양읍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17,308 명, 세대수는 8,634 입니다. 두번째로는 안의면 인구가 많고 인구 4,204 명, 세대수는 2,531 입니다. 세번째는 수동면으로 인구는 2,279 명, 세대수는 1,412 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함양읍 17,308 8,634
안의면 4,204 2,531
수동면 2,279 1,412
마천면 2,010 1,307
지곡면 1,976 1,182
서상면 1,731 1,083
유림면 1,565 1,001
백전면 1,544 936
휴천면 1,448 970
서하면 1,325 817
병곡면 1,255 743

 

 

 

함양군 인구 그래프

 

함양군 인구 추이

함양군 인구는 1966년에 12만 2591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며 1980년 처음으로 10만명 이하로 줄었습니다. 2024년 현재 3만 명이 함양군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함양군 산업 및 교통

농경지면적은 전체면적의 14.2%인 102.69㎢이며 도시적 토지이용이 나타나는 함양읍의 시가지계획면적도 13.93㎢에 불과하여, 나머지 608.35㎢가 지목상 임야 및 기타지구로 되어 있다. 평야가 좁아서 76.5%가 임야이고 농경지는 14%에 불과하지만 주 산업은 농업이다. 시가구역에 해당되는 함양읍의 면적 중 도시계획이 적용되는 용도지역면적은 주거지역 1.52㎢, 상업지역 0.21㎢, 공업지역 0.13㎢로 되어 있고 잔여면적은 농촌적 성격의 토지로 되어 있다.

 

경지면적은 총 1만 269㏊이고 논이 6,882㏊, 밭이 3,437㏊로서 논밭의 구성비가 논 67%, 밭 33%로 되어 논의 비중이 밭보다 2배 이상 우세한 편이다. 논의 이용은 남계천과 위천 유역의 유림면과 수동면 등지에 걸쳐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군의 농가호수는 7,952호, 농가인구는 1만 7797명으로 농가인구율은 전체 인구의 43.4%로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겸업농가가 전무하고 100% 전업농가라는 점은 이 고장이 전형적 농업지역에 속함을 의미한다.

 

주요 농산물은 주곡인 쌀 외에도 보리·콩·고구마·감자 등이 있고, 배추·무·양파·마늘·미나리·우엉·호박·연근 등의 채소류와 잎담배·참깨·들깨·대마 등의 특용작물, 구기자·질경이·목단·백작약·잎당귀 등의 약용작물도 지역에 따라 생산된다. 농가의 부업으로 한우·돼지·산양·닭·오리 등이 사육되며 양봉도 행해지고 있다. 아울러 양잠도 지역에 따라서 행해지고 있다.

 

산업구조의 특성을 보면 제1차 산업에 속한 농임업의 경우, 14개 업소에 176명이 고용되어 있다. 제2차 산업에 속하는 광공업을 보면, 광업은 2개 업소가 19명의 종업원을 고용하며 고령토·장성 등을 생산하고 있으나 28개의 광구 중 현재 가동중인 것은 6개소에 불과하다. 제조업은 267개 업소에 1,780명이 고용되어 있으나 미미한 수준에 놓여 있다. 고용규모가 큰 업종을 예거하면 비금속광물, 음식료품, 섬유제품 등이 있고 이외에도 나무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생산액은 2,442억 원, 부가가치액은 902억 원이다.

 

제3차 산업에 속한 상업 및 서비스업의 특성을 보면, 총 2,642개 업소에 8,367명이 고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육 및 개인 서비스업 498개 업소에 1,593명, 도·소매업 794개 업소에 1,473명, 음식 및 숙박업 710개 업소에 1,513명, 금융·보험·부동산업 43개 업소에 514명, 운수업 208개 업소에 568명, 건설업 127개 업소에 651명이 고용되어 있다(2008년 기준).

 

상업활동은 2개의 상설시장과 3개의 정기시장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5·10일에 열리는 안의면의 안의장과 마천면의 마천장, 3·8일에 열리는 수동면의 수동장 등 매 5일마다 열리는 정기시장이 지역 토산품과 한약재 등의 거래로 명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1980년 이후 점점 쇠퇴하였다.

 

1984년과 1991년에 각각 지정된 수동농공단지와 이은농공단지에 이어 원평농공단지, 안의전문농공단지 등이 조성되어 가동되고 있다. 수동면에는 함양군의 경제산업의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할 화물터미널, 집배송단지, 가공제조 및 중장비, 조립 및 정보시설을 두루 갖춘 함양일반지방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교통은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군의 중앙을 동서로 지나고 중부고속도로에 속하는 대전∼통영간 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국도 3호선은 거창과 산청으로, 국도 24호선은 남원과 연결된다. 이 밖에도 시군도가 있어 편리하다.

 

 

 


 

함양군 관광

소백산맥의 동사면에 위치한 산악지역으로 지리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을 끼고 있는 관광 명소이며, 과거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였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고장이기도 하다. 곳곳에 원시림으로 뒤덮인 심산유곡이 산재하며, 특히 동해 삼신산(三神山) 중의 하나라는 지리산의 영봉 천왕봉(天王峰)에 오르는 3개의 등산로가 나 있어 연중 관광객과 등반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수천 그루의 고사목으로 유명한 제석봉(帝釋峰)과 원시림 사이로 수십 개의 계곡이 즐비한 한신계곡(寒新溪谷)을 경유하는 백무동(白武洞)∼천왕봉 등산길은 지리산의 절경이며, 소백산맥 중턱 육십령(六十嶺)으로 향하는 금천(錦川) 상류는 청계옥수인데다가 곳곳에 자연의 비경과 조화를 이루는 종월정·동호정·거연정·군자정 등이 있어 사계절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안의면 상원리심진동(尋眞洞) 계곡의 용추폭포(龍楸瀑布)와 용추사지, 지곡면 평촌리의 옥계(玉溪)와 함양읍 구룡리의 서계(西溪) 등도 선경을 방불케 한다. 이 밖에 함양읍 교산리의 석조여래좌상, 마천면 덕전리의 마애여래입상 등 역사적 유물도 곳곳에 분포하고 있다. 또한,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군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고 있어 교통도 매우 편리하고 각종 편의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어 지리산의 관광명소로 크게 부각되고 있다.

 

1962년부터 개최해온 물레방아축제는 고운 최치원 선생의 유업과 유덕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다. 농업대축제를 비롯하여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벽송사 목장승을 실측 복원하고 장승문화를 전승·발전시키기 위한 장승깍기축제는 물레방아축제의 대표적인 행사이다.

 

백연리에는 공설운동장과 함양실내체육관, 석천리에는 안의체육관이 있다. 그리고 다곡리에 다곡리조트 건설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

'인구 > 시군별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
거창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
산청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
하동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
남해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