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구별 인구

서구 인구수(Daegu) - 2024년

by allinfo's today 2024. 5. 6.
반응형

대구 서구 인구수 2024년

 

 

 

 

대구시 서구 개요

동쪽으로 중구, 남쪽으로 달서구, 서쪽으로 달성군, 북쪽으로 북구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8°31′∼128°35′, 북위 35°51′∼35°52′으로 대구광역시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17.33㎢이고, 인구는 20만 6028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7개 행정동(9개 법정동)이 있다. 구청은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에 위치하고 있다.

 

 

 

 


 

대구시 서구 역사

해방 후인 1949년 8월 15일 대구부 서부출장소는 대구시 서부출장소로 개칭되었고, 1951년 6월 12일에는 북부출장소 관할이었던 조야동이 서부출장소에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1일 서부출장소가 서구로 승격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1일 원대동이 원대1, 2, 3가동으로 분동 되었다. 1966년 1월 1일에는 원대3가동이 3, 4, 5, 6가동으로 다시 분동 되었으며, 1970년 7월 1일 내당동이 내당1, 2, 3, 4, 5구로, 비산동이 비산1, 2, 3, 4, 5구로 각각 분동 되었다.

1975년 10월 1일에는 금호강이 구계(區界)로 설정되면서 금호강 남쪽의 원대4, 5, 6가동과 금호강 북쪽의 조야동, 노곡동은 북구에 편입되었다. 또한 내당동 1, 5구는 내당1, 4, 5동으로, 비산동 1, 3구는 비산1, 3, 6동으로 재편되었고, 평리동은 평리1, 2동으로 분동 되었다. 1979년 1월 1일에는 비산5동이 비산5, 7동으로, 평리1동이 평리1, 3동으로 각각 분동 되었고, 같은 해 5월 1일에는 평리2동이 평리2, 4동으로, 원대1, 2, 3가동이 원대1·2가와 원대3가동으로 각각 분동 되었다.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달성군 성서읍 전역을 관할하는 성서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2년 9월 1일에는 내당1동이 내당1, 6동으로, 평리3동이 평리3, 5동으로 분동 되는 한편, 성서1, 2동과 본리동이 설치되었다. 1983년 3월 15일 성서출장소가 폐지되면서 성서출장소 구역에 성서3동이 설치되었으며, 7월 1일에는 구청이 비산동에서 평리동으로 이전·신축되었다.

1985년 12월 1일 성당동이 성당1, 2동으로, 내당6동이 내당6, 7동으로, 상중리동이 상이동과 중리동으로 각각 분동 되었다. 1987년 1월 1일에는 남구 송현동 일부가 서구 성당동에, 남구 월성동 일부가 서구 본리동에 편입되고, 서구 성당동 및 본리동의 일부는 남구로 편입되었다.

1988년 1월 1일 달서구가 신설되어 서구에 속해있던 성서 전역과 대서로 남쪽 내당동 일부 및 성당동이 달서구로 편입되었으며, 내당7동은 내당4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5월 1일 서구는 기초자치 단체인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1992년 9월 1일 서구의 평리5동이 평리5, 6동으로 분동 되었고, 1995년 1월 1일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명칭 변경되면서 대구광역시 서구가 되었다. 1997년 1월 1일에는 내당2동과 내당3동이 내당2·3동으로, 비산2동과 비산3동이 비산2·3동으로, 원대1, 2가동과 원대3가동이 원대동으로 각각 통합되었다. 한편 1998년 9월 25일 과소행정 운영동 통합(구조례 제440호)으로 상이동과 중리동이 상중이동으로 통합되었다.

 

 

 


 

대구시 서구 인구(인구수)

서구의 총 인구는 164,069 명이고 세대수는 84,251 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서구 164,069 84,251

 

대구시 서구 동면읍 인구(인구수)

서구에서 상중이동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18,261 명, 세대수는 8,515 입니다. 두번째로는 평리4동 인구가 많고 인구 16,291 명, 세대수는 8,130 입니다. 세번째는 내당4동으로 인구는 15,022 명, 세대수는 7,744 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상중이동 18,261 8,515
평리4동 16,291 8,130
내당4동 15,022 7,744
평리3동 12,555 6,328
원대동 10,214 5,251
내당1동 9,745 4,870
비산4동 8,930 4,531
비산7동 8,774 5,108
비산1동 8,584 4,606
내당2.3동 8,527 4,657
비산2.3동 8,278 4,778
평리2동 7,320 3,462
평리5동 6,939 3,031
평리1동 6,912 3,766
비산6동 6,864 3,620
평리6동 5,454 2,720
비산5동 5,399 3,134

 

 

 

 

대구시 서구 인구(인구수) 그래프

 

대구시 서구 인구(인구수) 추이

서구 인구는 2000년 28만명 이었습니다. 이후에 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했고,  2024년 현재 16만 명이 서구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대구시 서구 산업 및 교통

2015년 현재 토지이용 현황을 보면, 총면적 17.52㎢ 중에서 주거지역이 42.8%로 가장 넓고 녹지지역이 24.8%, 공업지역이 23.4%, 상업지역이 9%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목별 현황은 도시지역의 특성상 대지가 34.2%, 공장이 15.4%로 구성비가 높고, 전답을 포함한 경지가 4.4%로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낮다. 한편 도로율은 19.2%이며, 임야 11.5%, 기타 15.3%의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다.

2015년 현재 총 사업체는 2만 123개로, 종사자는 7만 4910명이다. 분야별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조업이 3,278개 업체에 2만 1328명, 도매 및 소매업이 5,793개 업체에 1만 4190명, 숙박 및 음식점업이 3,525개 업체에 7381명, 운수업이 1,825개 업체에 5,255명,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이 2,542개 업체에 4,715명 등으로 나타나 업체 수로는 도매 및 소매업이 28.78%로 가장 많고, 종사자 수는 제조업이 28.47%로 가장 많다.

또한 제조업의 업종별 현황을 보면, 섬유가 529개 업체(44.3%)에 종사자 수 1만 2865명(61.9%)으로 가장 많고, 의복 및 모피가 177개 업체에 종사자 수 2,031명, 조립금속제품이 138개 업체에 1,435명, 기타 기계 및 장비가 99개 업체에 1,193명 등으로 나타난다.

일찍부터 서대구공단과 비산염색공단 등이 조성됨에 따라 대구 섬유산업의 중심지가 되어왔고, 현재도 대도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역과는 달리 제조업 종사자의 비율이 가장 높다.

서대구공단은 1978년 도시계획에 의해 상이동과 중리동에 지정된 임의 공단으로, 흩어져 있는 시내의 여러 공장들을 이곳으로 집단 이주시켰다. 2004년 기준으로 340개의 업체가 입주하고 있으며, 섬유와 기계 관련 업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08년 기준으로 조성 당시의 공장 용지 중 약 48.5%가 용도 전환되어, 공단으로서의 기능을 거의 상실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산염색공단은 염색전용 산업단지로, 1980년 평리6동에 조성되어, 2015년 현재 124개의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공동시설로는 발전설비용량 73.1㎿ 규모의 열병합발전소와 1일 10만 5000㎥를 처리할 수 있는 공동폐수처리장, 그리고 한국염색기술연구소가 위치하고 있다.

특히 한국염색기술연구소는 섬유산업 중 가장 기술집약적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염색가공분야의 기술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앙정부, 지방정부(대구광역시, 민간, 대구염색산업단지 관리공단)가 국내 최초로 제3섹터 방식으로 평리6동에 1994년 설립하였다. 염색가공현장의 애로기술 및 문제점 해결, 염색가공 시제품 생산, 폐수처리기술의 개발뿐만 아니라 차세대 염색가공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리동에는 1977년 도립기관인 경상북도 섬유기술 전문훈련소를 모태로, 생산기술 개발과 섬유기술인력 양성을 통한 섬유산업구조의 고도화, 국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전문 생산기술연구소인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이 위치해 있다.

이들 연구기관은 그동안 대구 섬유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주요 상업시설로는 할인점 3개소를 비롯하여, 내당1동 반고개시장, 내당2·3동 새길시장, 내당4동 삼익상가, 비산2·3동 서부시장, 비산7동 만평시장, 평리3동 서구시장, 대평리시장, 평리4동 중평시장, 신평리시장, 평리5동 중리시장, 평리6동 이현시장, 원대동 원대시장, 원대신시장, 내당동 두류1번가 등이 있다.

서구 지역의 농업을 살펴보면, 전체 농가는 1275호이고, 농가인구는 4330명인데, 이들 농가 중에서 전업농은 전혀 없으며, 모두 겸업농가이다. 농업의 중심 지역은 내당4동으로 총 168호이고 농가인구는 561명이다. 한편 전체 농지 21.5㏊ 중에서 밭이 11.5㏊, 논 10.0㏊이며, 가구당 평균 규모는 겨우 0.017㏊로 극히 영세하다.

교통은 경부선 철도가 통과하지만, 관내에 역은 없다. 그러나 상리동에 서대구인터체인지가 설치되어 이를 통해 경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광주대구고속도로 및 중앙고속도로 등 4개의 고속도로가 연결되어있어 광역 교통망 체계는 양호한 편이다. 또한 대구광역시 지하철 2호선이 통과하고, 시내버스 노선망도 발달되어 있어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대구시 서구 관광

대구광역시의 다른 지역에 비해 관광자원이 적다. 그러나 조선 초기 대구 출신의 대학자였던 사가 서거정(徐居正)은 당시 대구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열 곳을 소재로 하여 ‘대구10영(大丘十詠)’을 노래하였는데, 오늘날 원대동의 기원이 된 ‘대노원(大魯院)에서의 손님 보내기(櫓院送客)’를 그중 제8경으로 소개하였다.

그 내용은 “관도연연유색청(官道年年柳色靑, 관도에 해마다 버들 빛이 푸르고) / 단정무수접장정(短亭無數接長亭, 짧은 거리에 있는 주막이 수없이 장정을 이었네) / 창진양관각분산(唱盡陽關各分散, 이별곡 다 부르고 서로 흩어지니) / 사두지와쌍백병(沙頭只臥雙白甁, 모래밭 가에 두 개의 흰 술병만 누웠구나)”이다.

그 외 관광위락 시설로는 2015년 현재 22개의 도시공원이 있는데, 총 면적은 42만 7000㎡이다. 전체 공원 중에서 4개의 근린공원과 17개의 어린이공원은 이미 조성이 완료되었으며, 1개의 도시자연공원은 계획 중에 있다. 특히 1998년 조성된 이현동 이현공원은 다목적 운동장을 비롯하여 서구문화회관, 체력단련실, 산책로, 정구장, 잔디광장 등 다양한 시설들을 갖추고 있어 많은 구민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내당동 감삼공원은 테니스장과 노인정, 휴게시설 등을 갖춘 도심 속 공원이다. 이 밖에도 중리동 상리공원, 평리동 평리공원, 와룡산 도시자연공원 등이 있다.

내당동 큰장길 침구류 명물거리는 2004년 서구 명물거리 제1호로 지정되었다. ‘큰장’은 중구 대신동의 서문시장을 일컫는 말로, 이곳의 침구류 상가는 지난 1990년대부터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현재 960m의 거리에 70여 개의 침구류 업소가 밀집해 있으며, 이들 업소로부터 하청을 받아 제품을 납품하는 업체가 전국적으로 800개가 넘을 정도로 대규모이다.

이 밖에 내당2·3동 반고개 구길에는 30여 년 전부터 무침회 골목이 형성되었으며, 중리동에는 곱창마을이 유명하다. 이러한 명물거리들은 단순한 경제적 기능을 가지는 산업집적지일 뿐만 아니라 관광위락 명소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지역축제로는 1993년부터 매년 5월 초 개최되고 있는 날뫼축제가 있으며, 지역 차원에서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천왕메기굿을 재현,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동민한마음축제와 구민한마음달리기대회도 개최되고 있다.

주요 체육시설로는 9개의 체육공원을 비롯하여 학교시설 61개, 직장시설 14개, 공공시설 1개, 개인시설 191개 등이 있으며, 1995년 개장한 이현동 구민운동장은 축구장, 씨름장, 농구장 등을 갖추고 있어 다목적 운동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

'인구 > 구별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구 인구수(Daegu) - 2024년  (0) 2024.05.06
남구 인구수(Daegu) - 2024년  (0) 2024.05.06
동구 인구수(Daegu) - 2024년  (0) 2024.05.06
중구 인구수(Daegu) - 2024년  (0) 2024.05.06
기장군 인구수(BUSAN) - 2024년  (0)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