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구/시군별 인구

제주시 인구수 - 2024년

by allinfo's today 2024. 4. 28.
반응형

제주시 인구수 2024년

 

 

 

제주시 개요

동쪽과 서쪽 및 북쪽은 바다에 면하고, 남쪽은 한라산 정상을 사이에 두고 서귀포시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6°08′∼126°58′, 북위 33°16′∼34°00′에 위치한다. 면적은 북제주군과 통합되어 978.32㎢이고. 인구는 45만 9,876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4개 읍, 3개 면, 19개 행정동(40개 법정동), 96개 행정리(84개 법정리)가 있다.

일도(一徒)1 · 일도2 · 이도(二徒)1 · 이도2 · 삼도(三徒)1 · 삼도2 · 도남(道南) · 용담(龍潭)1 · 용담2 · 용담3 · 건입(健入) · 화북(禾北)1 · 화북2 · 삼양(三陽)1 · 삼양2 · 삼양3 · 도련(道連)1 · 도련2 · 회천(回泉) · 봉개(奉蓋) · 용강(龍崗) · 아라(我羅)1 · 아라2 · 월평(月坪) · 영평(寧坪) · 오등(梧登) · 오라(吾羅)1 · 오라2 · 오라3 · 연(蓮) · 노형(老衡) · 해안(海安) · 외도(外都)1 · 외도2 · 내도(內都) · 도평(都坪) · 이호(梨湖)1 · 이호2 · 도두(道頭)1 · 도두2동 등 40개 법정동으로 되어 있다.

시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2동에 있다. 남쪽으로는 한라산 정상 분수계를 경계로 서귀포시와 접하고 있는 행정시이다. 현재의 제주도는 2006년 7월 1일 이후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의하여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가 출범하게 되어, 기존의 4개 시 · 군 7읍 5면 31동 체계는 2행정시와 7읍 · 5면 · 31동 등 43개의 하부지역단위로 행정개편이 이루어졌다.

이는 제주국제자유도시를 완성하기 위한 법제도적 실천전략으로, 특별법에 근거한 국방 · 외교 등 국가존립사무 이외의 행정과 경제의 단계적인 자치권 확대를 통한 균형발전과 효율성 증대를 목표로 하는 행정시스템을 말한다. 이 섬이 가지고 있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지정학적 이점, 내륙지방과는 다른 고유의 문화를 경쟁력으로 하여 행정도 중에서 인구는 가장 적으나 가장 큰 권한을 가진 광역지방자치단체로 새로이 태어나게 되었다.

핵심사업으로는 국책사업으로 영어전용타운조성 추진과 교육경쟁력 강화, 도 전역의 국제회의도시지정(2006년 9월), 의료관광기반조성 등 국제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투자환경조성이 주요 내용이다. 대한민국의 도(道) 중에서 유일하게 철도와 고속국도가 없으며, 자치도로 개편되면서 일반국도가 지방도로 바뀌었다.

 

 

제주시

제주시 소식, 시민참여, 민원안내, 관광정보 등 수록

www.jejusi.go.kr

 

 

 


 

제주시 역사

가. 조선시대

1402년(태종 2)에 오랫동안 전래되어 오던 성주(星主) · 왕자의 칭호가 폐지되어 성주가 좌도지관(左都知管), 왕자가 우도지관으로 개칭됨으로써 종전의 토관직(土官職)이 없어지면서 제주지배층이 없어졌다. 1416년에는 한라산을 경계로 산북이 제주목이라 하여 목사가 두어지고, 산남은 동서로 양분하여 동쪽이 정의현(旌義縣), 서쪽이 대정현(大靜縣)으로 구분되어 현감이 다스렸다.

1609년(광해군 1) 김치(金緻)가 판관으로 있을 때 동서 방리를 설치하고 약정(約正)을 두었다. 제주목에는 중면 · 좌면 · 우면, 정의현에 좌면 · 중면 · 우면, 대정현에는 우면 · 좌면을 두었다가 뒤에 제주목의 좌면이 신좌면과 구좌면으로 나뉘고, 우면도 그렇게 나뉘었다. 현재의 제주시 지역은 제주목의 중면에 해당된다.

나. 근대
1894년 갑오개혁의 여파로 종래의 지방제도는 모두 폐지되었고 23개의 부로 개편됨에 따라, 제주는 제주부로 독립된 행정구역이 되었다. 제주군 · 정의군 · 대정군의 세 군을 제주부에서 관할하였다. 그러나 1896년 8월 전국이 도 · 부 · 목 · 군으로 구분되면서 제주도는 제주목으로 개칭되어 전라남도에 소속되었다.

1908년에 목사가 폐지되고 부가 군으로 개정됨에 따라 제주목이 폐지되고 제주군이 되었다. 1909년에 대정군과 정의군이 폐지되어 제주군에 흡수됨으로써 제주도는 1개 군 12개 면 167개 리의 행정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제주시 지역은 이때 제주군 중면이었다.

1913년 중면이 제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15년 제주도의 군제가 폐지되고 도사제(島司制)가 실시되면서 도사가 경찰서장까지 겸하게 되었다. 1929년 당시의 제주면내의 호구수는 8,013호, 인구는 3만 5,013인이었다. 1931년 제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다. 현대
1946년 제주도가 도(道)로 승격되었고, 1955년 9월 1일에 제주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1962년 1월 1일에 14개 행정동이 설치되었고, 1979년 5월 23일에 일도동이 일도1동 · 일도2동으로, 이도동이 이도1동 · 이도2동으로 오라동이 오라동 · 연동으로 분리되었다. 1983년 10월 1일에 삼도동이 삼도1동 · 삼도2동으로, 1985년 10월 1일에 용담동이 용담1동 · 용담2동으로 분리되었다.

2005년말 현재 19개 행정동과 40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5년에는 주민투표를 통해 제주시와 북제주군,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을 통합하는 행정구역 개편안이 확정되었으며, 2006년 7월 1일부터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함에 따라 제주시는 북제주군을 통합하여 광역 행정시로 편제되었다.

 

 

 


 

제주시 인구

제주시의 총 인구는 489,939 명이고 세대수는 224,793 세대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제주시 489,939 224,793

 

제주시 동면읍 인구

제주시에서 노형동이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는 55,241 명, 세대수는 24,105 입니다. 두번째로는 이도2동 인구가 많고 인구 48,132 명, 세대수는 21,317 입니다. 세번째는 연동으로 인구는 42,453 명, 세대수는 22,208 입니다.

행정기관 총인구수 세대수
노형동 55,241 24,105
이도2동 48,132 21,317
연동 42,453 22,208
아라동 40,106 17,334
애월읍 37,760 17,831
일도2동 31,308 13,385
삼양동 26,157 10,232
조천읍 25,791 12,049
화북동 23,317 9,707
외도동 22,416 8,989
한림읍 20,745 10,685
오라동 16,102 6,444
구좌읍 15,283 8,068
용담2동 13,776 6,402
삼도1동 12,832 6,026
한경면 9,593 5,136
건입동 8,672 4,165
삼도2동 7,817 4,161
이도1동 7,652 4,021
용담1동 6,588 3,410
봉개동 5,221 2,426
이호동 4,371 1,973
도두동 3,251 1,579
일도1동 2,184 1,325
추자면 1,588 967
우도면 1,583 848

 

 

 

 

 

제주시 인구 그래프

 

제주시 인구 추이

서귀포시 인구는 1966년에 205,210명으로 20만명이 조금 넘었지만 약 10년 후인 1975년에 25만명을 돌파했고 현재 491,987명으로 거의 50만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다른 지방도시와 달리 제주도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선호하는 여행지이고 많은 도시 인구들이 쾌적한 제주도 환경을 선호하게 되면서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제주영어교육도시 개발과 혁신도시 및 해군기지, 관광업 활황 등으로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면서 크게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제주시 산업 및 교통

농경지 총면적은 58.7㎢로 대부분 과수원을 포함한 밭으로 이용된다. 과수원의 생산물은 감귤 · 키위 · 단감 등 과실류 생산의 비중이 큰데, 특히 밀감의 생산면적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식량작물의 면적은 밀감 재배면적의 약 절반에 불과하다. 주요 농작물은 맥류 · 두류 · 서류 · 잡곡 등이다. 식량작물의 생산이 낮아진 것은 제주도 일원에 걸쳐 1960년대에 밀감원의 대대적인 개원과 함께 주작물이었던 조와 고구마를 재배하지 않게 되면서 나타났다. 특히 주식량이었던 조는 현재 거의 재배되지 않고 있다.

2차산업으로는 음식료품업과 출판 · 인쇄 및 기록매체업에 관련된 업체가 주를 이루며, 최근에는 IT산업의 비중이 조금씩 커지고 있다. 앞으로 소형선박제조, 골프 · 낚시용구, 보석가공업 등의 관광레져스포츠 관련 공업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제주시는 예로부터 제주도의 대외 교역중심지였으며 또한 지역 내 상업활동의 중심지였다. 상업활동은 조선시대부터 있어 온 정기장이 2 · 7일에 개장되어 상업활동이 전개되어 왔다. 1945년 해방과 동시 상설시장으로서 동문시장이 생겼고, 1954년에는 서문시장이 개장되었다. 관광지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지방의 재래시장이 쇠퇴하는 것과 달리 제주시의 정기시장은 그 자체가 관광대상이 되기도 하여 아직도 활기를 띠고 있다.

제주시의 상업기능은 특히 동부관광도로와 서부관광도로의 개통으로 산남지방의 상업기능을 흡수하면서 더욱 성장하는 추세에 있다. 1996년에 서울을 제외한 전국에서 최초로 E마트가 개장됨으로서 제주시의 상업기능은 더욱 강화되었으나, 최근에는 서귀포시에도 대형할인매장이 입지함에 따라 제주시 상권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의 경우 해안우회도로 · 중산간우회도로 · 한라산 제1 · 2횡단도로 등의 도로가 있다. 해상교통은 부산 · 목포 · 완도 · 인천 등지로 카페리호와 일반여객선이 운항하고 있으며, 항공교통은 국내의 주요 도시와 국제선의 일본 · 중국 · 대만 등으로 항로가 개설되어 있다.

 

 

 


 

제주시 관광

제주도의 관문인 제주시에는 일본 · 중국 · 대만 등의 주요 도시들을 잇는 국제선과 전국 각지를 잇는 국내선이 갖추어진 국제공항이 있다. 그리고 부산 · 목포 · 완도 · 인천을 잇는 최대의 카페리 항구시설을 갖추고 있어 관광객이 찾아들기에 편리하다. 제주관광의 시작점이며 종착점이 되는 시에는 특급호텔 · 일반호텔 그리고 여관과 여인숙 등의 관광숙박업소와 관광요식업소, 그리고 관광교통업소 등이 집중되어 있다.

제주시의 관광명소로 용암동굴이나 폭포 · 온천 등은 없으나 남한 최고봉인 한라산이 있다. 예부터 제주도의 절경으로 영주십경(瀛州十景)이 널리 알려져 왔는데, ① 성산일출(城山日出) ② 영구춘화(瀛丘春花) ③ 귤림추색(橘林秋色) ④ 산포조어(山浦釣魚) ⑤ 고수목마(古藪牧馬) ⑥ 녹담만설(鹿潭滿雪) ⑦ 영실기암(靈室奇岩) ⑧ 정방폭포(正房瀑布) ⑨ 산방굴사(山房窟寺) ⑩ 사봉낙조(沙峰落照) 가 그것이다. 그중 영구춘화 · 귤림추색 · 산포조어 · 고수목마 · 녹담만설 · 사봉낙조 등 6경이 제주시에 분포하여 자연적 관광자원의 매력을 제고시키고 있다.

용암동 해안의 용두암 이외에도 어리목계곡 · 아흔아홉골과 선녀폭포 · 어승생악 · 무수천 · 월대 · 용연 등의 자연경관지가 있다. 해수욕장으로는 이호동에 이호해수욕장과 삼양동에 적외선 치료효과를 내는 검은 모래의 삼양해수욕장이 있다. 레크레이션 관광지로 골프장과 해안 곳곳에 유수한 낚시터가 있으며, 문화의 거리라 할 탑동해안관광지가 있다.

탐라 5,000년의 고도로서 문화적 관광자원이 풍부하여 지역 최대의 문화관광지가 된다. 삼성혈 · 삼사석 · 고인돌 · 제주성지 · 원당사지와 수정사지 · 산천단 · 오현단 · 관덕정 · 제주향교 · 향사당 · 모충사 · 돌하르방 등의 수많은 유적지와 유물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관덕정 인근에 소재한 제주목관아지가 복원되어 새로운 관광명소로 각광 받고 있다. 국립제주박물관과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이 소재하며, 아라동에는 기암괴석을 전시한 목석원이 있다. 제주관광민속관과 매년 10월에 열리는 한라문화제에서는 제주의 전통민속이 해마다 재현되고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박과사전]

반응형

'인구 > 시군별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산구 인구수(SEOUL) - 2024년  (0) 2024.05.04
서귀포시 인구수 - 2024년  (1) 2024.04.28
합천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
거창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
함양군 인구수 - 2024년  (0) 2024.04.28